미국에 대한 저항 전쟁이 끝난 후 10년(1975~1985년) 동안 베트남은 경제, 정치, 사회적 측면에서 깊고 포괄적인 위기에 직면했습니다. 외세의 침략에 맞선 저항전쟁에서의 승리는 경제건설과 발전단계에서는 촉진되지 않았다. 이런 상황의 원인은 전쟁과 자연재해로 인한 심각한 파괴 때문이기도 하지만, 소련, 미국, 중국 및 이웃 동남아시아 국가들과의 베트남 정책과 관련된 국제 관계 문제의 결과이기도 합니다.
1980년대 중반 이후 베트남 내부뿐만 아니라 지역 및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는 변화로 인해 베트남과 파트너 국가 간의 개방적이고 효과적인 국제 관계에 대한 새로운 전망이 열렸습니다. 베트남의 관점에서 볼 때, 그 당시 가장 큰 변화는 1986년 베트남 공산당 제6차 대회에서 공식 승인된 혁신 정책을 시행하기로 한 결정이었습니다. 그 짧은 기간 동안 국가는 정치, 경제, 문화, 사회, 특히 대외 관계에서 많은 변화를 겪었습니다. 사회주의 블록의 회원국이면서 상호 경제 원조 위원회(SEV)에 속한 국가들과만 경제적 관계를 맺고 소련과의 관계를 외교 정책의 "초석"으로 여기는 베트남은 1995년에 ASEAN, 1996년에 ASEM, 1998년에 APEC, 2007년에 WTO에 가입했고, 2008년에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이 되었습니다.
베트남 같은 나라가 어떻게 이렇게 짧은 시간 안에 극적인 변화를 이룰 수 있을까? 지금까지 베트남의 혁신적인 외교 정책의 원인, 내용, 결과에 대해서는 여전히 다양한 의견이 존재합니다. 첫 번째 의견 그룹은 베트남의 외교 정책 혁신이 세계 정세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상황적 대응일 뿐, 사전에 주도적이고 계산적이며 신중하게 준비된 인식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두 번째 의견 그룹은 베트남이 외교 정책에서 이룬 성과는 인상적이기는 하지만 여전히 제한적이며 국가의 잠재력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고 생각합니다. 세 번째 의견은 베트남이 25년간 혁신 외교 정책을 시행해 왔지만 여전히 혼란스럽고 세계와 지역 정세가 급격하고 복잡하게 변화하는 가운데 명확한 외교 전략과 적절한 정책이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이 책은 위의 의문을 해소하는 데 기여하고자 1986년부터 2015년까지 베트남의 혁신 외교 정책의 형성, 이동, 발전 과정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뛰어난 성과를 평가하고, 교훈을 도출하며, 앞으로의 완벽한 외교 정책을 위해 극복해야 할 한계점을 지적합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 책은 세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장: 혁신적인 외교 정책이 형성된 이유. 이 장에서는 1986년 베트남 공산당이 전반적인 혁신과 특히 외교 정책의 혁신을 결정한 이유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로 외교 정책 혁신의 형성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2장: 1986년부터 2015년까지 베트남의 혁신적 외교 정책의 형성과 발전 과정. 3장의 주요 내용은 당대회 문서와 기타 당 문서의 기본 내용을 분석하여 1986년부터 2015년까지 베트남의 외교 정책 형성 과정을 역사적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제시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개혁된 외교 정책의 기본 내용은 무엇이며, 각 단계를 통해 어떻게 형성되고 조정되었는지에 대한 질문에 답합니다.
3장: 혁신 외교정책의 실행 결과. 이 장에서는 베트남의 혁신 외교 정책이 인지적, 실용적 측면에서 이룬 성과를 평가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이를 바탕으로 3장에서는 몇 가지 교훈을 도출하고 혁신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외교 정책을 구현하는 데 도움이 되는 몇 가지 권고안을 제시합니다.
작가:우쉬
최신 뉴스
이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