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n tức

광닌성 쩐 왕조 국가 특별 유적지 발굴 결과 발표

일요일 - 2018년 2월 4일 07:19
2018년 2월 3일, 베트남 국립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은 광닌성 동찌에우 타운 ​​인민위원회, 광닌성 박물관과 협력하여 다음 유물에 대한 발굴 결과를 보고하는 워크숍을 개최했습니다. 해당 유물은 광닌성 동찌에우 타운의 쩐 왕조 국가 특별 유적지에 있는 응오아 반 암 사원, 다 총 사원, 안 신 사원, 짜이록 무덤입니다.

워크숍에 참석한 사람은 Tong Trung Tin 부교수(베트남 고고학 협회 회장), Vu Minh Giang 교수(VNU 과학 및 훈련 위원회 위원장, 국가 유산 위원회 부위원장), Tran Tien Dung(광닌성 문화체육부 부국장), Ha Hai Duong(시당 위원회 부서기, 동찌에우 타운 ​​인민위원회 위원장), Pham Quang Minh 교수(VNU 사회과학 및 인문학 대학 총장)와 함께 많은 전문가, 고고학 및 역사 연구자, 동찌에우 타운의 부서 및 지부 책임자들이었습니다.

Pham Quang Minh 교수가 컨퍼런스에서 연설합니다.

하하이즈엉 동지(시당위원회 부서기, 동찌에우현 인민위원회 위원장)께서 워크숍에서 연설하셨습니다.

안신 사원은 중요한 유물이지만, 현재 자료는 매우 부족하며, 특히 쩐 왕조 시대의 안신 궁에 대한 기록은 더욱 그렇습니다. 이번 발굴은 여러 겹의 건축적 층을 지닌 쩐 왕조 유적의 복합적인 모습을 발견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이는 쩐 왕조 시대 안신 궁의 발전 과정을 반영합니다. 이를 통해 쩐 왕조 건축의 신성한 축과 방향을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동시에, 여러 역사적 시기에 걸쳐 비교적 복잡한 건축 작품들로 이루어진 이 복합적인 건축물의 분포 범위와 구조적 규모를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당홍손(Dang Hong Son) 부교수(인문사회과학대학 역사학과 부교장)가 안신사에서 발굴된 고고학적 연구 결과를 소개합니다.

갈색 꽃무늬 도자기, 특히 갈색 꽃무늬 도자기 항아리의 발견은 쩐 왕조 시대 안신궁 건축의 왕실적 성격을 보여주며, 쩐 왕조 시대 안신궁의 건립 시기에 대한 정보도 제공합니다. 현존하는 기록에 따르면 안신궁의 쩐 왕조 건축은 13세기 초에 건축되었습니다. 이는 안신궁 건축 단지의 성격을 규명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또한 발굴 결과 청동 봉황상, 연꽃과 용 문양으로 장식된 대형 갈색 꽃무늬 도자기 항아리 등 귀중한 유물들이 다수 출토되었습니다.

회의 대표단은 회의에 참석하기 전에 타이미에우 사원과 안신 사원에서 향을 바쳤습니다.

짜이록(Trai Loc) 유적지에서는 두 개의 무덤이 서로 가까이에서 발견되었습니다. 도로 공사 중 굴착기에 의해 심하게 파손되었지만, 발굴팀은 조사를 통해 이 무덤의 구조가 2010년 동찌에우(Dong Trieu)에서 발견된 응이아훙(Nghia Hung) 무덤, 판끄우(Phan Cuu, 땀즈엉, 타이빈), 그리고 하이찌에우(Hai Trieu, 타이빈) 무덤과 유사하다고 판단했습니다. 이 무덤들은 모두 쩐 왕조 시대 귀족들이 조상 대대로 살았던 땅에 묻힌 무덤입니다.

응오아 반 에르미타주는 쭉람 선종의 초대 조사가 수행하여 부처가 된 곳으로, 15개의 사리가 4개 군으로 나뉘어 있는 탑과 탑 단지입니다. 그중 응오아 반 에르미타주는 가장 중요한 사리입니다. 이 탑과 탑 단지는 19세기 응우옌 왕조 시대까지 건설 및 확장되었습니다.

워크숍 개요

연구팀은 산 정상, 즉 신들의 체스판, 암자, 그리고 그 아래 탑 구역에서 발굴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팀의 예비 평가에 따르면, 쩐 왕조 시대에 응오아 반 암자(Ngoa Van Hermitage) 구역의 지면은 현재 땀바오(Tam Bao) 구역과 규모가 비슷한 단층 구조였습니다. 이곳의 쩐 왕조 건축 양식은 연꽃무늬 기와로 지붕을 덮은 목조 골조 구조였습니다. 이러한 건축물의 규모는 크지 않았으며, 자연과의 조화보다는 자연과의 조화를 중시하는 선불교의 진정한 정신을 반영하고 있었습니다.

기본적으로 두 층으로 구성된 현재의 지상 구조는 레쭝훙(Le Trung Hung) 시대에 형성되어 현재까지 유지되어 왔습니다. 응우옌(Nguyen) 시대에는 지상 구조가 기본적으로 변하지 않았고, 건축 활동은 상부 기초 층에서만 이루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복원 또는 재건 후에도 응우옌 왕조 건축은 이전 레쭝훙 시대의 구조와 규격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20세기에 이르러 응오아반(Ngoa Van)의 유물 대부분이 붕괴되면서, 응오아반에 존재했거나 존재하지 않았던 모든 예배 내용은 응오아반 암자 구역에 모였습니다.

다총 유적지는 평평하고 넓은 지역으로, 인간 거주에 유리한 모든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곳의 고고학 조사 결과, 다총 1호 유적에는 띤탓(Tinh That), 중심 구역, 탑 정원, 탑 정원, 호수 등의 구조물 흔적이 남아 있으며, 다총 2호 유적에는 건축 구조물과 건축 자재 가마의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 2017년 고고학 조사 결과에 따르면, 쩐 왕조 시대에 탑 정원 구역에 작은 암자가 건설되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레쭝훙 왕조 시대에 응오아반(Ngoa Van) 사원이 복원되고 장식되면서 다총 사원은 응오아반 지역의 탑과 탑 건축 군집 중 가장 크고 완벽한 탑과 탑 단지로 건설 및 발전했습니다.

대표단은 유적지 발굴 결과를 바탕으로 유적지에 대한 구체적인 권고안을 제시했습니다. 안신 사원 단지의 세부 계획은 고고학 연구 결과에 따라 조정되어야 하며, 투푹 묘 유적지와 연계하여 지형과 자연경관의 다양성을 극대화하고 역사문화공원으로 조성해야 합니다. 짜이록 묘 유적지의 경우, 묘 유적지를 복원하고, 유적지 통과 경로를 조정하고, 구역을 구획하는 동시에 유적지의 장기적인 가치를 보호하고 증진할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또한, 과학자들은 타이랑 주변 지역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를 실시하여 유사 유적지의 흔적을 찾고, 유적지가 있는 경우 보호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대표단은 발견된 유물에 대한 소개를 듣고 있습니다.

응오아 반 암 유적지 계획은 기존 지형 구조와 경관을 보존하고, 응오아 반 사원과 띤 암을 연결하여 사원, 암 탑, 띤 탓이라는 하나의 전체를 형성해야 합니다. 현재 유적지에 남아 있는 두 가지 중요한 건축 작품인 도안 응이엠 탑과 팟 호앙 탑을 보존하기 위한 시의적절한 계획이 필요합니다.

다총 유적의 경우, 대표단은 발견된 레쭝훙 시대의 구조와 규모에 따라 이 건축 단지를 복원하고 아름답게 꾸며 기능, 건축 경관, 그리고 높은 실현 가능성이라는 요건을 충족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동시에, 계획 방향은 두 개의 하위 구역으로 나뉘는데, 핵심 구역은 문화 및 영적 건축이고, 경관을 활용하고, 서비스를 개발하며, 다총 유적을 신앙, 종교, 그리고 영적 관광의 중심지로 만드는 구역입니다. 호수는 경관을 조성하고 응오아 반 유적 단지 전체의 일상생활을 위한 깨끗한 물을 저장하는 장소로 활용하기 위해 보수되어야 합니다.

워크숍에서 과학자들과 대표단은 유물 보호 구역 설정, 유물 보존 및 미화 계획 등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쩐 왕조 유물의 가치 증진을 위한 계획, 복원, 미화 및 홍보를 전개하고 실행하기 위해서는 구조와 규모를 연구하고 그 가치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고학 발굴 결과는 쩐 왕조 유물의 가치를 입증했으며, 이를 통해 유물의 보존, 복원, 미화 및 가치 증진을 위한 계획 수립 및 계획 수립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했습니다.

작가:호아이안

기사의 총점: 0/0 리뷰

이 기사를 평가하려면 클릭하세요

최신 뉴스

이전 뉴스

[모바일 언어]
귀하는 사이트를 사용하지 않았습니다.로그인 상태를 유지하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대기 시간: 60 두번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