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n tức

국제 과학 컨퍼런스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태평양 지역의 국제 관계”

금요일 - 2019년 7월 26일 22:09
2019년 7월 26일, 인문사회과학대학교는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태평양 지역의 국제 관계”를 주제로 국제 학술대회를 개최했습니다. 이 학술대회에는 21개의 발표가 진행되었고, 국내외 국제 관계 학자들이 다수 참여했습니다.
Hội thảo khoa học quốc tế “Quan hệ quốc tế trong khu vực Ấn Độ-Thái Bình Dương tự do và rộng mở”
국제 과학 컨퍼런스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태평양 지역의 국제 관계”

미국의 2017년 국가안보전략에서 인도-태평양은 "인도 서해안에서 미국 서해안까지 뻗어 있는 지역"으로 정의됩니다. 인도-태평양이라는 개념은 사실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017년 APEC sidelines에서 이 개념을 재차 언급하면서부터 많은 관심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미국 전략에서 "아시아-태평양"이라는 용어를 "인도-태평양"으로 변경한 것은 이 지역을 "동아시아와 서태평양"에만 초점을 맞추던 것에서 인도양, 동남아시아, 호주, 뉴질랜드의 연안 국가들을 포함하는 지역으로 확장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미국 외교 정책의 초점이 아시아로 옮겨갔음을 의미합니다. 이는 미국이 인도의 부상(동방정책을 통해), 중국의 공세와 영향력 확대(아프리카 포함), 그리고 동남아시아 경제의 강력한 성장에 대해 더 큰 우려를 표명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인도-태평양 지역 자체가 세계 정치 지도에서 극히 중요한 요소로 떠올랐습니다. 이 지역은 인도양과 태평양을 모두 포함하며, 영토의 40%, 인구의 41%, GDP의 61%, 총 세계 무역의 47%를 소유하고 있습니다. 전략적으로 이 지역은 일본, 한국, 필리핀과 같은 미국의 긴밀한 동맹국과 중국, 인도와 같은 가장 큰 경쟁국을 집중시킵니다. 경제적으로 이곳은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경제, 가장 큰 사회경제적 조직, 가장 중요한 해상 경로가 집중되어 있으며, 세계 무역의 중심지입니다. 안보와 정치 측면에서는 얽힌 경쟁과 협력의 핫스팟이 많이 있으며, 그 중 가장 두드러진 것은 영향력을 위한 미중 경쟁이며, 이 지역 국가들은 적극적으로 국방력을 현대화하고 강화하고 있습니다.

개회사에서 Pham Quang Minh 교수는 동해를 비롯한 해상에서의 긴장감이라는 맥락에서 이 컨퍼런스 주제의 시사성과 참신성을 강조했습니다.

따라서 미국은 독립, 주권, 통일, 그리고 영토 보전을 존중하고, 역내 모든 국가 간의 공정하고 평등하며 자유로운 무역을 보장하며, 기존의 협력 메커니즘을 증진하는 인도-태평양 지역 건설이라는 목표를 전략에 제시했습니다. 이 전략은 역내 다른 국가들, 특히 강대국 간 권력 다툼에 휘말린 중소국들에게도 영향을 미칩니다. "자유롭고 개방된 인도-태평양 지역의 국제 관계" 워크숍은 이러한 미국의 전략이 역내 국가 및 단체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히 하고, 다양한 관점을 공유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워크숍에서 공유된 의견과 견해는 예상되는 인도-태평양 지역을 건설하고 유지하는 과정에 있는 국가들의 정책 결정 과정에 기여할 것입니다.

노아 자링(베트남 주재 미국 대사관 정치참사관) 씨는 전략, 경제, 거버넌스라는 세 가지 기둥을 기반으로 한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을 실현하기 위한 내용과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워크숍은 2개 세션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세션 1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태평양 전략: QUAD 국가의 관점" 프레젠테이션: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베트남에 대한 공약"(Noah Zaring – 베트남 주재 미국 대사관 정치 고문); "인도-태평양 안보에 대한 호주의 관점: 가치와 전략의 교차점";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태평양: 일본의 관점"(Go Ito 교수 – 메이지 대학교);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태평양: 인도의 관점"(Rahul Mishra 교수 – 말레이시아 대학교);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미국의 새로운 안보 구조에서 인도의 역할"(Pham Quang Minh 교수 및 Ho Ngoc Diem Thanh 석사 – VNU 사회과학 및 인문학부); “트럼프 대통령 하에서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에 대한 경제적 요인”(베트남 외교부 국제기구국 응우옌 훙 손 씨); “일본과 인도-태평양 전략: 이점, 전망 및 정책”(호치민시 외국어 및 정보 기술 대학교 팜 티 옌 박사).

대표단들이 기념사진을 찍는다

세션 2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태평양 전략: 아시아에 미치는 영향" 발표: "인도-태평양 안보 구조에서 ASEAN 중심성"(Nguyen Hong Hai 박사 - 퀸즐랜드 공과대학교); "미국의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태평양 전략에서의 동남아시아"(Nguyen Thi Thanh Thuy 박사 - 사회과학 및 인문학 대학교, VNU); "4자 그룹, 인도-태평양 및 동맹 시스템에 대한 필리핀의 인식"(Charmaine Willoughby 박사, 드 라 살 대학교 - 필리핀), "인도-태평양 전략 및 중국과 인도 간의 해상 우위를 위한 경쟁"(Quach Thi Hue 박사, 호치민시 국립 정치 아카데미), "미국의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태평양 전략과 베트남의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Le The Lam, 호치민시 국립 정치 아카데미).

작가:트란 민

기사의 총 점수는 0/0개의 리뷰입니다.

이 기사를 평가하려면 클릭하세요

최신 뉴스

이전 뉴스

귀하는 사이트를 사용하지 않았습니다.로그인 상태를 유지하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대기 시간: 60 두번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