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은 러시아, 프랑스, 독일, 일본, 한국, 체코, 우크라이나, 몽골, 라오스, 중국 등 다양한 국가에서 옵니다. 대부분이 협정 학생(베트남 정부와 다른 국가가 체결한 협정에 따라 공부하기 위해 베트남에 와서 베트남으로부터 장학금을 받는 학생)입니다. 그 외에도 단기 학생과 특히 베트남학을 전공하는 학부생도 있습니다. 이 현장 학습은 유학생들이 베트남어를 배우는 것뿐만 아니라 베트남 문화에 대해서도 더 잘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학습 계획의 일부입니다.
학생들은 여러 그룹으로 나뉘어, 투어 가이드로부터 베트남의 소수민족, 언어체계, 지역적 특성 등에 대한 설명을 듣고 방문했습니다. 베트남에서 생활하고 공부하는 동안 대부분의 학생들은 베트남 사람들과만 교류했습니다. 박물관에 오시면 베트남의 S자 모양 땅에 함께 사는 다른 민족의 문화에 대해 알아볼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됩니다. 예를 들어, 므엉족의 장례식 장면, 타이족의 복식, 눙족의 원뿔형 모자, 소당족의 바구니, 참족의 물소 수레 등이 있습니다. 호기심 어린 눈빛과 기대에 찬 얼굴은 베트남의 여러 민족이 만들어낸 다양하고 풍부하며 독특한 문화에 대한 유학생들의 놀라움과 관심을 여실히 보여줍니다.
학생들은 실내 박물관에 전시된 유물을 면밀히 살펴본 후, 함께 야외 박물관을 방문했습니다. 그들은 박물관으로 옮겨져 야외 전시 구역에 소수민족이 직접 재건한 일부 소수민족의 집을 직접 밟고 만져볼 수 있어 매우 기뻤습니다. 타이족의 죽마고지, 바나족의 공동주택, 기아라이족의 무덤, 에데족의 긴 집, 참족의 2층 지붕집 등이 있습니다. 학생들은 교사들에게 기아라이족의 무덤 주변에 왜 이렇게 많은 나무 조각상이 있는지 등의 질문을 했습니다. 공동주택은 무슨 용도인가요? 왜 베트남 집은 큰방이 두 개고, 옆방이 세 개라고 할까요?… 선생님들의 열정적인 설명에 이어 “알겠습니다”, “그렇군요”라는 부드러운 말투가 더해지니 선생님과 학생 모두 만족스러웠습니다.
박물관을 방문한 지 약 4시간 만에 유익한 현장 견학이 끝났습니다. 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베트남의 소수민족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었고, 국제 학생 간의 교류를 늘리고 교사와 학생 간의 관계를 강화할 수 있었습니다. 돌아오는 길에는 다음 주의 그룹 발표를 준비하기 위해 학생들 사이에서 끝없는 질문과 토론, 교류가 이루어졌습니다. 이는 베트남어를 외국어로 가르치고 배우는 데 있어 대학의 교육 방법을 혁신하고 현대적 방법을 적용하려는 학부의 노력을 생생하게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