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라일 A. 세이어 교수(왼쪽에서 두 번째)가 개막 세션 발표 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 재키 찬/USSH)
개막 세션에서 사회인문과학대학교 부총장인 팜 꽝 민(Pham Quang Minh) 부교수는 인류가 직면한 매우 복잡한 안보 과제를 강조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평화와 안정을 위해서는 지역 및 국제적 차원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베트남은 신흥 국가로서 다양한 국제 포럼과 기구에 점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이러한 목표를 위한 활동에 협력하고 참여할 의지를 표명해 왔습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번 컨퍼런스는 정책 입안자와 전문가들이 평화 유지의 의미와 베트남이 국제 평화 유지 활동에 효과적으로 참여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의 장을 마련합니다.
이어서 에르빈 슈바이스헬름(프리드리히 에버트 재단 이사)은 세계 평화 유지 활동에 국제 사회의 동참을 약속한 베트남의 노력을 칭찬하는 연설을 했습니다. 그는 이번 회의가 제도 개선, 병력 증강, 재정 지원 조치 등 이 분야에서 다른 국가들의 경험을 베트남과 공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슈바이스헬름 이사는 또한 베트남이 평화 유지 활동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사회 공동체의 지원이 있어야만 베트남의 공동 노력 참여가 진정한 효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안드레아스 비트코프스키 박사 - 국제평화유지활동센터 (사진: 재키 찬/USSH)
개막 세션 이후, 컨퍼런스에서는 많은 국내외 전문가와 정책 담당자들이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발표했습니다.베트남과 유엔 평화유지군 참여" (외교부 국제기구국장 황치중 씨 발표) "베트남, 평화유지활동 참여 약속 - 국제적 관점”(Carlyle A. Thayer 교수 - 호주 뉴 사우스 웨일즈 대학교)2014년 세계적 관점에서 본 평화유지 현황 – 현실, 기회 및 과제” (Andreas Wittkowsky 박사 - 독일 연방 공화국 국제 평화 활동 센터(ZIF))평화유지활동의 법적 근거”(보리스 콘독 박사 - 극동대학교, 한국); 평화유지군에 참여하는 국가의 경험…
작가:탄하
최신 뉴스
이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