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n tức

“디엔비엔푸 캠페인 65주년: 국제적 관점과 지역적 관점에서”

목요일 - 2019년 5월 2일 07:07
2019년 5월 2일, 베트남 국립 인문사회과학대학(VNU)은 베트남 외교 아카데미, 베트남 국립 언어 및 국제학 대학, 폴 발레리 몽펠리에 3세 대학(프랑스), 베트남 주재 프랑스 대사관과 협력하여 "디엔비엔푸 전역 65주년 기념: 국제적, 지역적 관점에서" 국제 학술 대회를 개최했습니다.
“Kỷ niệm 65 năm chiến dịch Điện Biên Phủ: Nhìn từ góc độ quốc tế và địa phương”
“디엔비엔푸 캠페인 65주년: 국제적 관점과 지역적 관점에서”

65년이 지났지만, 디엔비엔푸 승리의 여파와 흔적은 정치, 군사, 외교, 문화 등 전 세계 여러 곳에 여전히 울려 퍼지고 있습니다. 이 전투는 전 세계 언론과 연구자들의 큰 관심을 받은 인도차이나 전쟁의 몇 안 되는 전투 중 하나이며, 매 기념일마다 국제적인 사건으로 기념됩니다. 국내적으로 디엔비엔푸는 베트남 국민의 결단력, 자립, 투쟁, 승리 정신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국제적인 관점에서 볼 때, 디엔비엔푸는 용기의 상징이며, 식민지화, 억압, 착취를 겪어온 사람들의 독립, 자유, 정의에 대한 열망을 위한 끝없는 영감의 원천입니다. 65년간 피비린내 나는 전쟁터였던 디엔비엔푸는 오늘날 국가 간의 평화, 우정, 협력이 이루어지는 만남의 장소가 되었습니다.

상임위원회가 개회 세션을 주재했습니다(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람 광 동(Lam Quang Dong) 부교수(VNU 외국어대학 부총장); GS. Pierre Journoud(Paul-Valéry University Montpellier 3); Pham Quang Minh 교수(VNU 사회과학 및 인문학 대학 총장) 조교수 응우옌 부 퉁 박사(베트남 외교 아카데미 원장) 에티엔 롤랑 피에그(문화 참사관, 프랑스 문화원장, 베트남 주재 프랑스 대사관)

지난 몇 년간의 성공에 이어 최근에는 2014년 5월에 "디엔비엔푸에서 제네바 협정까지 - 국제적 관점에서"라는 제목으로 디엔비엔푸에 대한 국제 과학 컨퍼런스가 개최되어, 지금까지 연구되어 온 군사적 발전과 전쟁 중 및 전쟁 이후의 정치 권력과 군사력 간의 관계를 명확히 밝히기 위해 개최되었습니다. 워크숍에서는 이 사건을 지역적, 국제적, 국제적 수준에서 명확히 하고 분석할 것입니다. 우호적인 관계, 협력 및 지속 가능한 지역 개발을 촉진할 수 있는 전망을 말합니다.

GS. 팜꽝민 박사는 1993년 프랑스 대통령 프랑수아 미테랑의 베트남 방문 사례를 통해 과거를 마감하고 베트남과 프랑스 양국 국민의 미래로 나아가는 정책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이 방문은 두 나라 관계의 새로운 장을 여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모하메드 베라(베트남 주재 알제리 민주 공화국 대사)는 전쟁 중 베트남 인민의 독립을 위한 투쟁 정신에 대한 알제리 인민의 동정과 존경을 공유했습니다. 그는 평화 시대에 베트남 및 프랑스어권 국가와의 협력을 증진하고 싶다는 바람을 표명했습니다.

개막 세션에서 조직위원회 대표들은 이 컨퍼런스와 같은 의미 있는 행사를 만들기 위해 함께 일하게 되어 영광이라고 말했습니다. 각 단위, 각 학자, 각 연구자는 자신의 견해를 기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회의는 디엔비엔푸 승전과 같은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치는 사건을 검토하는 기회일 뿐만 아니라, 베트남과 프랑스 간의 협력, 특히 베트남과 프랑스 교육 기관 간의 협력을 위한 새로운 기회를 열어준다는 데 모두 동의했습니다. 특히, 이 컨퍼런스를 주최하는 인문사회과학대학은 연구 대학 환경에서 이해관계자들이 서로 학문적 지식을 교환할 수 있는 포럼으로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과거 역사의 한 페이지를 되돌아보고 미래에 프랑스와 베트남의 협력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열어가는 것을 목표로, 학교는 "과거를 소중히 여기고 미래를 붙잡자"는 학교의 모토를 계속해서 실천하고 있습니다.

대표단들이 기념사진을 찍는다

개막 세션 이후 워크숍은 5개의 하위 위원회로 구성된 2일 2-3/5 동안 계속됩니다.

  • “디엔비엔푸: 지역 및 국제적 역할” 소위원회에서는 다음과 같은 여러 발표가 있었습니다.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베트민의 손에 잡힌 프랑스 전쟁 포로: 트라우마 뒤에는 기준의 경계에서 겪은 국제적 사회적 경험”(프랑스 몽펠리에 폴 발레리 대학교 줄리앙 메리 교수), “전선 공급 위원회의 조직 및 운영, 1953-1954년 겨울-봄 전략 공세와 디엔비엔푸 전역 지원에서의 독특한 창의성”(사회과학 및 인문학 대학교 응오 당 트리 부교수)
  • "디엔비엔푸의 추억" 소위원회에서는 "프랑스-베트남 관계 속의 디엔비엔푸, 고통받는 공동체와 희망에 찬 공동체"(피에르 주르누 교수 - 몽펠리에 폴 발레리 대학교, 프랑스), "프랑스에서 디엔비엔푸 전투의 역사를 쓰다"(이반 카도 교수 - 프랑스 국방부), "잊혀진 전쟁을 찾아서"(로랑스 캄파 교수 - 파리 낭테르 대학교, 프랑스) 등 여러 발표가 있었습니다.

  • "프랑스 동맹과 국가들" 하위 위원회에서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발표가 있었습니다. "프랑스와 자치 태국 연방(1948-1954): "디엔비엔푸 지역에서 논란의 여지가 있는 결과를 초래한 우발 동맹"(필립 르 파일러 교수 - 극동 프랑스 학교), "디엔비엔푸 승리와 프랑스어 정체성의 창조"(응우옌 황 누 탄 박사 - 베트남 외교 아카데미); "라오스와 디엔비엔푸 전투"(마야 아카자키 교수, 폴 발레리 몽펠리에 대학교, 프랑스).
  • “디엔비엔푸 - 지역적 관점과 지속 가능한 개발” 소위원회에서는 “많은 변동을 겪는 경제: 디엔비엔푸의 노동과 투쟁”(크리스찬 C. 렌츠 교수 - 예일대학교, 미국), “디엔비엔푸 사건 이후 베트남 농촌의 문화적 영향”(응웬 딘 레 조교수, 사회과학 및 인문학부) 등 다수의 발표가 있었습니다.
  • "디엔비엔푸 - 문화 및 교육 문제" 소위원회에서는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발표가 있었습니다. "디엔비엔푸 - 영화의 관점"(사회과학 및 인문학 대학의 Tran Viet Nghia 부교수), "교육의 붕괴: 식민지 이후 베트남의 학교, 1945-1954"(베트남 사회과학 아카데미 역사 연구소의 Tran Thi Phuong Hoa 부교수), "현대 베트남 문화와 교육에서의 디엔비엔푸의 상징"(사회과학 및 인문학 대학의 Truong Thi Bich Hanh 박사).

작가:트란 민

기사의 총점: 0/0 리뷰

이 기사를 평가하려면 클릭하세요

최신 뉴스

이전 뉴스

[모바일 언어]
귀하는 사이트를 사용하지 않았습니다.로그인 상태를 유지하려면 여기를 클릭하세요. 대기시간: 60 두번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