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정교하고, 진지하며, 매우 실용적이다.이 행사는 연구팀의 놀라운 학문적 성과를 기념하는 것뿐만 아니라, 국내 유수의 교육 센터 중 한 곳에서 인류학이 얼마나 깊이 발전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번 출간 기념회에는 많은 전문가, 연구자, 강사, 사회과학대학 학생, 그리고 여러 협회와 연구 기관이 참여했습니다.
인류학 및 종교학과 학과장인 응우옌 트룽 지앙(Nguyen Truong Giang) 준교수가 도서 출간 기념회에서 개회사를 했습니다.
개회사에서 인류학 및 종교학과 학과장인 응우옌 트룽 지앙(Nguyen Truong Giang) 부교수는 두 권의 책이 사회 네트워크가 지역 사회 생활의 모든 측면을 꿰뚫어 보는 맥락에서 꼼꼼하고 진지하며 매우 실용적인 연구 과정의 결과물이며, 인류학 연구와 사회 과학, 인문학 분야에 중요한 기여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연구는 베트남의 지역 사회와 민족 생활에서 소셜 네트워크의 역할을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기술이 문화와 사회적 소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차원적 관점을 제공합니다.
람 바 남(Lam Ba Nam) 준교수이자 베트남 인류학 및 민족학 협회 회장이며, 사회과학 및 인문학 대학 전 부총장이 두 권의 책 서문을 사회했습니다.
소셜 미디어가 인류학 연구의 대상이 되는 경우3년간의 "임신" 여정 끝에 "인류학적 관점에서 본 베트남의 소셜 네트워크와 민족 집단"이라는 책이 편집장, 부교수, 응우옌 반 수 박사(전 인류학과장, 현재 베트남 국립 사회과학인문대학교 인류학 및 종교학과 강사)와 저자들의 열렬한 열의로 출판되었습니다. 이 책은 9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베트남의 민족 집단이 소셜 네트워크에 접근하고, 소셜 네트워크를 활용하고, 디지털 환경에서 문화적 정체성을 표현하는 방식을 탐구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태국의 몽족부터 젊은 도시 거주자 그룹에 이르기까지 소셜 네트워크는 의사소통의 수단일 뿐만 아니라 정체성, 성찰, 문화적 협상의 공간으로도 여겨집니다.
이 책은 국내외적 맥락에서 인류학적 관점에서 소셜 미디어와 소수민족, 그리고 소수민족과 소셜 미디어에 대한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베트남의 소셜 미디어와 소수민족에 대한 새로운 민족지학적 접근법을 제시하고, 오프라인과 온라인 공간 모두를 탐구하여 연구 대상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에 더욱 접근하는 방식을 장려했습니다. 또한, 이 연구는 소셜 미디어가 베트남 소수민족에 미치는 심오한 영향을 보여주는 동시에 몇 가지 귀중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인류학적 관점에서 본 베트남의 소셜 네트워크와 소수 민족 집단이라는 책의 편집자이자 부교수인 응우옌 반 수 박사가 책을 연구하고 출판하는 과정에 대해 공유합니다.
한편, 부교수인 브엉 쑤언 띤 박사의 저서 『페이스북은 어떤가』는 학문적 자서전적 성격을 지닌 4부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통적인 소통 공간에서 기술 소통 공간으로의 전환 과정을 반영합니다. 이 책은 독자들에게 페이스북 사용이 소수 민족 청소년들에게 흔한 현상이라는 핵심적인 연구 결과를 제시합니다. 페이스북은 또한 민족적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하고 재창조하는 데 기여하는 도구이기도 합니다. 저자는 정체성이나 민족적 고정관념의 형태가 페이스북 상호작용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합니다.
여기에서 책을 읽어보세요
부교수, 박사 Vuong Xuan Tinh - 전 베트남 민족학 연구소 소장, "Goc Da, Quan Coc and Facebook"의 저자가 독자들과 공유합니다.
토론에는 Tran Huu Son 박사(응용문화연구소 소장, 라오까이성 문화관광체육부 전 소장)가 "소수민족 연결에 있어서 소셜 네트워크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발표했고, Bui Thi Bich Lan 박사(민족종교연구소 부소장)가 "소수민족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에 있어서 소셜 네트워크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토론에 참여했습니다.
두 연구 논문의 출간은 강력한 디지털 전환의 맥락에서 인류학, 민족학, 사회학 및 문화학 분야 간의 학제 간 학술 교류를 촉진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풍부한 내용과 현대적인 접근 방식을 담은 두 권의 저서 "인류학적 관점에서 본 베트남의 소셜 네트워크와 민족 집단"과 "Goc da, quan coc, 그리고 Facebook"은 귀중한 학문적 기여를 할 뿐만 아니라, 오늘날 베트남의 소셜 네트워크, 민족 집단, 그리고 문화 정체성 연구에 많은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합니다.
이 행사는 또한 베트남 국립대학교(VNU) 인문사회과학대학 인류학 및 종교학부가 현대 사회 이슈와 관련된 과학적 연구를 장려하고, 학술적 지식 교류를 위한 개방적이고 다차원적이며 심층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한 노력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는 현대 통신 기술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급격한 사회 변화를 설명하고, 반영하고, 이에 동참하는 데 있어 베트남 인류학의 역할을 확인하는 여정의 중요한 다음 단계입니다.
저자들은 도서 출간 기념회에 참석한 개인, 단체, 대표단에게 도서를 소개했습니다.
책 출간 기념 행사에 참석한 과학자들은 저자들과 기념 사진을 찍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