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크숍에는 누알라 오브라이언(주베트남 아일랜드 대사관 부대사), 에드워드 라히프 박사, 니콜라스 치좀 박사(아일랜드 코크 대학교)가 참석했습니다. 사회과학인문대학교 측에서는 팜 꽝 민(Pham Quang Minh) 총장이 참석했습니다. 또한, 베트남 국립대학교 하노이 캠퍼스, 호치민시 국립대학교 산하 대학교, 천연자원환경부 등 연구 기관의 과학자들이 워크숍에 참석했습니다.
워크숍 개요
영어: 컨퍼런스에서 Pham Quang Minh 교수는 컨퍼런스 주제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도시화는 세계의 피할 수 없는 추세입니다. 이것이 개발 과정과 어떻게 연관되며, 기회와 과제는 무엇입니까? 컨퍼런스는 위 내용에 대한 국내외 과학자들의 해석을 기록했습니다. 사회과학 및 인문학 대학에는 국제학부 산하 국제개발학과가 있으며, 사회 개발의 맥락에서 공통된 세계 문제에 관심을 보이는 연구가 있습니다. 위 주제와 관련하여 채워야 할 지식 격차가 많고 더 많은 연구 방향이 열려야 합니다. 그러한 의미에서 컨퍼런스는 이론과 실천을 연결하고 베트남 사회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대학이 교류하고 공유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Pham Quang Minh 교수는 또한 아일랜드의 개발은 지속 가능하고 진정으로 스마트한 특별한 모델이라고 말했습니다.
사회과학 및 인문학 대학 총장 Pham Quang Minh 교수
누알라 오브라이언(베트남 주재 아일랜드 대사관 부대사)은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도시 지역의 역할은 사회 모든 측면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하며, 개발의 원동력이자 문제의 원인이기도 합니다. 실제로 개발 목표는 과학적 도시 관리를 통해서만 달성될 수 있습니다. 베트남, 아일랜드 또는 세계 어느 나라든 서로 다르지만 도시화를 포함한 개발 과정에서 공통적인 문제에 직면합니다. 도시화는 경제 중심지를 형성하고 창업 활동과 교육을 육성하는 환경을 조성합니다. 따라서 교육은 도시화에 직면한 도시 지역의 지속 가능하고 건강한 발전을 보장하는 효과적인 조치입니다. 부대사는 과학 및 교육 교류 활동의 중요성과 효과를 높이 평가했습니다. 이는 아일랜드가 도시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베트남 주재 아일랜드 대사관 부대표 누알라 오브라이언 여사
국제 컨퍼런스 "도시화와 개발 - 21세기 베트남의 기회와 과제"는 4개 세션으로 구성됩니다.
|
작가:투 하
최신 뉴스
이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