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에서의 한국학: 20년간의 교육과 연구
관리자
2013-01-14T05:30:31-05:00
2013-01-14T05:30:31-05:00
https://ussh.vnu.edu.vn/vi/news/tin-hoat-dong/han-quoc-hoc-o-viet-nam-20-nam-giang-day-va-nghien-cuu-5317.html
/테마/ussh_v2/이미지/no_image.gif
사회과학 및 인문학 대학 - VNU
https://ussh.vnu.edu.vn/uploads/ussh/logo-ussh-2_100_100.png
베트남과 한국 수교 20주년을 맞아, 베트남 국립대학교 아시아학 지원 센터의 후원으로 2012년 12월 21일, 하노이 국립대학교 사회과학인문대학 동양학부는 "베트남의 한국학 - 20년간의 교육과 연구"라는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했습니다.
베트남과 한국 수교 20주년을 맞아, 베트남 국립대학교 아시아학 지원 센터의 후원으로 2012년 12월 21일, 하노이 국립대학교 사회과학인문대학 동양학부는 "베트남의 한국학 - 20년간의 교육과 연구"라는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했습니다.회의는 많은 분과위원회로 나뉘지 않았지만 주로 한국학 교육 및 연구의 두 분야를 논의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회의에는 남북한의 대학 및 연구소의 과학자와 강사 대표가 참석하여 한국의 역사, 사회 경제, 문화 및 언어의 모든 문제를 다루는 10개의 보고서와 10개의 응답이 있었습니다.한국학 산업은 20년 이상 두 나라 간의 관계 발전을 반영하는 불가피한 필요로 베트남에서 탄생했다고 단언할 수 있습니다.20년이라는 기간은 다른 지역 연구 분야에 비해 길지 않지만 여정을 되돌아보고 성과와 남은 문제를 평가하여 경험을 도출하고 이 분야의 지속 가능하고 체계적인 개발 및 교육 및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기에 충분합니다.오전 세션에서 과학자들은 다음 주제로 한국어, 문학 및 문화 문제를 듣고 논의했습니다.베트남어와 비교한 한국어 자동사와 타동사에 대한 연구 조사; 한국어에서 시제를 보완하는 어근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고려하고 베트남인을 위한 교육 방법을 제안합니다. 시인 고은의 시집 "내일의 노래"를 통해 그의 사상을 연구합니다. 한국으로 이주한 베트남 신부들의 한국 문화 적응 과정을 살펴보고, 베트남 신문에 게재된 한국 관련 기사의 내용을 분석합니다. 언어 분야에서는 한국어 연구, 특히 동사와 시제 어미에 초점을 맞춘 두 편의 보고서가 있으며, 이를 통해 베트남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연구하는 데 적합한 방법을 제시합니다. 이 두 보고서를 중심으로 본 학회는 저자들의 연구 성과를 높이 평가하는 동시에 베트남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연구하는 데 사용되는 언어 용어의 통일성을 강조했습니다. 문학 분야 보고서는 단 한 편이었지만, 이는 베트남에서 한국 문학을 가르치고 연구하는 데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지금까지 한국 문학은 고대 문학과 문학 발전사 분야에서만 주목을 받아 왔습니다. 현대 문학 작가를 소개하고 논의함으로써, 이 회의는 현대 한국 문학 분야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하며, 그 특징과 추세를 파악하고, 가능하다면 베트남 문학의 경우와 비교해야 한다는 의견 일치를 이루었습니다. 한국 문화 분야는 베트남 사람들(특히 베트남 신부)의 한국 문화 적응이나 베트남 언론의 내용을 통한 베트남의 한국에 대한 인식 등 베트남과 관련하여 제시된 내용으로 대표단의 관심을 받았습니다. 이 분야에서는 기준을 사용하여 종합하고 분류하고 문제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으로 들어가는 다음 연구 방향을 제안하는 토론이 있었습니다. 오후 세션에서는 발표와 의견이 다음과 같은 역사적,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제에 대해 논의하는 데 집중되었습니다. 현대부터 현재까지 한국과 베트남의 개혁과 혁신을 되돌아보기; 1948년부터 현재까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한국의 외교 정책의 부침; ASEAN 공동체(AC) 실현 문제에 대한 한국의 정책 견해; 한국의 경제 발전에서 정부의 역할; 한국의 386세대 이해. 역사에 관한 두 보고서는 근대 이후 한국의 개혁과 혁신, 그리고 1948년부터 현재까지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대한 정책을 다루었습니다. 학자들은 역사적 문제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의 기반과 미래 발전 추세에 대해 논의하고 살펴보았습니다. 학술대회에서 한국학 전문가와 연구자들은 한국의 경제 발전에서 정부의 역할과 한국과 역내 국가들의 국제 관계에 대한 연구 주제에서 몇 가지 공통점을 발견했습니다. 특히, 아세안 공동체에서 한국의 역할과 영향에 대한 연구 방향을 더욱 강조할 필요성에 대한 문제가 논의되었습니다. 사회적 주제에서는 1960년대에 태어난 세대가 한국 사회 발전에서 맡은 역할을 분석한 보고서가 있었는데, 이는 한국 연구에 있어 새롭고 흥미로운 관점을 보여주었습니다. 이 학술대회는 높은 전문성을 갖추고 있으며, 특히 미래 한국학 분야의 학술 연구 활동을 장려하는 데 기여하는 행사로 평가되었습니다. 토론 부분을 포함한 학술대회 발표문은 베트남의 한국학 교육 및 연구 성과를 보여주는 귀중한 참고 자료가 될 뿐만 아니라, 앞으로 새로운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는 여러 분야의 이슈를 제기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