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크숍에는 주타 프라쉬(베트남 주재 독일연방공화국 특명전권대사), 미하엘 한슬러 박사(독일 게르다-헨켈 재단 이사)와 베트남과 독일의 많은 과학자들이 참석했습니다.
법치주의 이론은 오랜 형성과 발전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고대 동서양에서 나타난 국가가 법을 준수하고 국민을 존중하고 보호하며, 과학적이고 효과적으로 조직되고 운영된다는 원시적인 개념과 사상에서부터 현대의 법치주의 이론(Rechtsstaat, L/état de Droit, Rule of Law 등)에 이르기까지 말입니다.
이러한 발전 과정에서 "법치국가"는 이념과 이론에서 벗어나 지역 및 세계적 성격의 많은 국가와 권력 기관의 조직 및 운영 관행에 침투하여 정치, 경제, 문화, 안보, 국제 협력 문제 등을 해결하는 중요한 기반과 도구가 되었습니다. 법치국가의 정신은 국가, 지역 및 세계적 차원의 관계에 스며들어 모든 사람, 국가 및 전 인류의 생존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시민권, 인권 및 국가권을 보장하기 위해 주체 간의 사고방식과 행동 방식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법치국가"는 과학적 자산에서 보존, 개발, 보완 및 개발이 필요한 인류 공통의 문화적 자산이 되었습니다.
독일은 현대 "법치국가" 개념과 교리의 발상지 중 하나라는 영예를 안고 있습니다. 오늘날 독일연방공화국의 헌법과 조직 및 운영에서 "법치국가" 이론의 많은 가치들이 점차 실현되어 왔습니다. 독일 학자들의 "법치국가" 연구 결과는 높은 과학적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참고할 가치가 있습니다.
베트남에서 호찌민 주석은 “백 가지 법치 정신을 가져야 한다”는 국가 건설의 선구자였습니다. 특히 베트남 공산당 제7기 중간대표대회(1994년) 이후 법치국가 건설 문제가 제기되어 베트남 정치 혁신 과정에서 점차 중요한 내용이 되었습니다. 지금까지인민의, 인민에 의한, 인민을 위한 사회주의 법치국가베트남에서는 법치주의가 형성되어 점차 완성되어 가고 있으며, 그 중요한 이정표 중 하나는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헌법(2013년 개정)의 탄생입니다. 그러나 베트남에서 법치주의 국가를 건설하는 과정에는 이론과 실천적 측면 모두에서 학제적 접근, 특히 정치학적 접근과 다른 국가들의 경험을 참고하여 철저하게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들이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법치주의: 이론과 실제” 워크숍은 독일과 베트남 과학자들이 역사와 현재의 법치주의에 대한 최신 연구 결과를 교환하고 양측이 배울 수 있는 교훈을 공유하는 포럼입니다.
워크숍은 이론적 관점에서 본 법치국가, 법치국가 - 비교 및 대조, 세계적 맥락에서의 법치국가, 국제 협력 연구 분야인 법치국가의 네 가지 하위 위원회로 나뉘었습니다.
워크숍의 발표는 다음과 같은 주요 이슈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법치국가의 역사; 법치국가와 기본법; 법치국가와 경제; 법치국가와 사회; 법치국가와 글로벌 거버넌스.
논의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치적 관점에서 본 사회주의 법치 국가; JJ 루소의 사회 계약 개념에서 법치 국가에서 법의 내용을 고찰; 국가 권력을 조직하고 통제하는 방법에 대한 JJ 루소의 사상; 법치 국가와 세계 거버넌스; 오늘날 베트남에서 법치 국가를 건설하는 데 있어서 언론의 역할; 입헌주의의 세계적 발전에서의 법치; 레 왕조 초기의 중앙집권 국가 제도 - 법치 국가 건설의 가치와 역사적 교훈; 법치 국가와 베트남 헌법; 호치민 사상의 관점에서 본 부패와의 싸움...
작가:탄하
최신 뉴스
이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