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11월 11일, "베트남 언어학 교육 및 연구 - 이론적, 실무적 문제"라는 주제로 학술대회가 개최되었습니다. 이 학술대회는 언어학 55주년과 언어학부 설립 15주년을 기념하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개최되었습니다.이 워크숍에는 100명이 넘는 대표단, 국내외 과학자, 강사, 연수생 및 학교 학생들의 관심과 참여가 모였습니다.

100개가 넘는 보고서가 이번 회의에 제출되었는데, 그 중 30개는 해외 대학의 과학자들이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해당 대학은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미국), 셰필드 대학교(영국), 파리 7 대학교(프랑스), 베이징 대학교, 광시 대학교, 오사카 대학교(일본), 한국외국어대학교(한국), 호주국립대학교(호주), 우본 라차타나니 대학교(태국) 등입니다. 보고서의 내용은 언어학, 베트남어학, 베트남 내외 언어 분야의 교육 및 연구와 관련된 이론적, 실무적 문제를 논의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본회의에서 워크숍에 참석한 대표들은 4개의 서론 보고를 들었습니다.
- 부교수, Nguyen Hong Con 박사, 언어학과장:인문사회과학대학 언어학과: 55년간의 과학 연구.
- 준교수, 마리나 프레보 박사, 파리 7대학교 베트남학과 전 학과장:언어와 문학 - 하노이 사회과학 및 인문학 대학과 파리 디드로 대학의 관계에 대한 예시 7.
-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 아시아 언어 및 문화학과 Quyen Di 교수:미국에서 베트남어를 가르치고 배우기 위한 노력.
- 송정남 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베트남어학과장:베트남 리나라의 시험제도에 대한 몇 가지 생각.
전체 회의 이후 워크숍은 4개 소위원회로 나뉘어 진행되었습니다.
- 교육 언어학, 베트남어학 및 베트남어
- 언어학 및 베트남어 언어학 문제
- 베트남어와 베트남 문화에 대한 문제
- 베트남과 그 지역의 소수민족 언어학

언어학, 베트남어학, 베트남어 교육 문제를 논의하는 이 보고서는 베트남과 세계 여러 지역에서 외국어로 베트남어를 가르치는 것, 베트남에서 영어와 소수 민족 언어를 가르치는 것 등 언어 교육 문제에 초점을 맞춥니다. 저자 Gyanam Mahajan과 Juliana Wijaya(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 미국)와 Marina Prévot 교수(파리 7 대학교)의 대표적인 보고서는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커뮤니티에 통합하는 과정에서 모국어 유산과 관련된 문제를 언급했습니다. 언어학과 베트남어학의 현재 이슈를 논의하며, 일련의 이론적, 실천적 이슈가 제시되고 논의되었습니다. 부이 만 훙 부교수(호치민시 교육대학교)는 베트남어에서 "a little"과 "a little"이라는 단어의 의미와 사용법의 차이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GS. 나이젤 더필드(영국 셰필드 대학교)는 촘스키의 최소주의적 접근 방식에 따라 베트남어의 핵심 문제를 제시합니다. 또한 촘스키의 접근 방식을 따라,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캠퍼스(미국)의 아눕 마하잔 교수는 생성 유형론의 관점에서 전치사의 위치와 어순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여기에는 중국어, 베트남어, 힌디어 등에서 가져온 많은 예가 있습니다.

베트남어와 문화에 대한 문제를 논의하면서 많은 보고서에서 베트남어의 은유, 관용어와 속담의 사용, 중국-베트남어와 관련된 문제가 언급되었습니다. 단어 형성 문제는 언어학 연구소의 응우옌 득 톤 교수가 "베트남어에는 소위 '형태소 번역' 방법과 중복 단어 형성 방법이 있는가, 없는가?"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론적으로 재검토했습니다. 또한 베트남어 어휘의 역사, 고유명사, 베트남어의 지리적 방언, 베트남어의 사회적 방언에 관한 문제도 많은 보고서에서 언급되었습니다. 그리고 베트남 소수민족의 언어와 GS 지역에 대해 논의합니다. 황티차우 박사(VNU 사회과학 및 인문학 대학)는 계산 시스템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남아시아 언어를 구분하는 방법을 설명했습니다. Tran Tri Doi 교수(VNU 사회과학 및 인문학 대학)는 순수 베트남어와 외래어 단어의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GS. 시미즈(일본)는 놈 문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베트남어의 역사적 음성학을 발표했습니다.

이 학술대회는 언어학 55주년과 언어학부 창립 15주년을 엄숙히 기념하기 위한 과학적 결과물입니다. 동시에 이는 언어학부가 교육 및 연구 과정을 정리하고 평가하고, 향후 연구 프로젝트와 국제 협력을 더욱 촉진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합니다.
워크숍의 일부 결과
1. 과학적으로- 워크숍에 참여한 보고서 총 수: 105개 보고서, 이 중 외국 저자가 작성한 보고서 30개. 조직위원회는 학회 회의록에 게재할 80개의 전문 보고서와 25개의 초록 보고서를 선정했습니다. - 회의에 참석한 대표단 총 수: 115명의 대표단(보고서를 제출한 대표단 100명 + 초청 대표단 15명) 포함: + 국내 20개 이상의 대학 및 연구소에서 온 대표단 85명: 하노이 사회과학 및 인문대학, 베트남국립대학 외국어대학, 하노이, 빈대학, 다낭대학, 후에대학, 호치민시 사회과학 및 인문대학, 호치민시 교육대학, 언어학 연구소, 사전학 및 백과사전 연구소, 한자 연구소 등 + 해외 15개 대학에서 온 대표단 30명: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7), 파리 7대학교(2), 셰필드 대학교 - 영국(2), 베이징대학(2), 오사카대학(3), 한국외국어대학교(2), 광시대학(2), 광시민족대학(2), 호주국립대학(2), 가오슝 대학교 - 대만(1), 청궁 대학교 - 대만(1) 청화대학교(1), 베이징외국무역경제대학교(1), 태국 우본타니대학교(1), 태국 라하즈밧타니대학교(1). - 전체 회의와 4개 소위원회에서 총 60여 건의 보고서가 발표되고 논의되었으며, 그 중 절반 가량이 외국 저자가 작성한 보고서였습니다. - 워크숍에 참석한 대표단은 워크숍의 과학적 의의와 실용적 가치, 그리고 워크숍에 참여한 과학 보고서의 내용과 질을 높이 평가했습니다.2. 국제 협력 측면에서- 이 워크숍은 국내 언어학부의 기존 파트너(언어학 연구소, 사전학 및 백과사전 연구소 및 여러 대학)와 해외(파리 7대학, 한국외국어대학, 오사카대학, 중국의 여러 대학 등)와의 교육 및 과학 연구 분야에서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증진하는 효과가 있었습니다. - 이 워크숍을 통해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미국), 셰필드 대학(영국), 호주 국립대학 등 높은 순위와 강력한 언어학 학과를 갖춘 해외 대학을 중심으로 다수의 새로운 잠재적 파트너와 교육 및 과학 연구 분야에서 협력 관계를 발전시켰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