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단의 첫 번째 방문지는 1,746명의 순교자가 묻힌 비쑤옌 지구 순교자 묘지였습니다. 이 중 264명은 무명 순교자였습니다. 이들은 전국 33개 성과 도시에서 왔습니다. 이들은 10년간 조국의 북쪽 국경을 지키기 위해 싸운 10대 후반과 20대 초반의 청년들이며, 나라를 지키기 위해 영웅적으로 목숨을 바쳤습니다. 이 전역에서 이들은 바위 위에서 살고, 바위 위에서 죽고, 불멸의 존재가 되었습니다. 이른 아침의 맑은 비 속에서 당 서기인 응우옌 반 킴 교수, 학교 재향군인회 회장인 트란 반 하이 부교수와 참전 용사들은 방명록에 글을 쓰고 향을 피워 이 땅에서 전사한 동지들에게 경의를 표했습니다.
그룹 멤버들의 관심을 사로잡은 한 곳은“행복으로 가는 길”동반석고원에 있는 이 도로는 약 200km 길이로, 옌민, 동반, 메오박, 꽝바 현과 하장 마을을 연결합니다. 이전에는 이 현들을 오가는 것이 매우 어려웠고, 홍수가 날 때마다 통행이 끊기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고립을 깨기 위해 당과 국가는 이 도로를 개통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전국 각지에서 모인 수천 명의 젊은이들과 16개 민족의 노동자들이 함께 돌을 깨고 길을 냈습니다. 그들은 어려움, 혹독한 기후, 원시적인 노동 도구에도 아랑곳하지 않았습니다. 길을 여는 사람들이 바위를 하나하나 파내기 위해 절벽에 목을 매달아야 하는 산길도 있었습니다. 그렇게 길은 민족의 의지와 정신력으로 서서히 형성되었습니다. 이 도로는 수많은 산길을 지나는데, 그중 마피렝은 북부 국경 지역에서 가장 위험한 산길로, 고갯길의 왕으로 여겨집니다. 헤어핀 모양의 고갯길이 아래로 굽어지면서 마치 차가 심연에 매달려 있는 듯한 느낌을 줍니다.
완공된 도로는 이곳 사람들에게 행복을 가져다 주었으며, 호 삼촌께서 그 도로에 이름을 붙이셨습니다.“행복으로 가는 길”
꽝바천문은 석고원으로 들어가는 첫 번째 관문으로 여겨집니다. 천문에 도달하려면 구불구불한 길과 우뚝 솟은 바위들을 지나야 합니다. 이곳이 바로 석고원 입구입니다."행복으로 가는 길"이곳에서 차는 바위산 속 바위산을 지나는데, 안개는 안개 속에 가려져 있습니다. 이 구간의 베테랑 운전자인 후이 씨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안개가 너무 짙어서 차가 도로를 제대로 볼 수 없는 날이 많습니다. 그래서 두 사람이 차의 양쪽에, 마치 조종사처럼 차 앞에 서서 지나가야 합니다." 산 정상에서 십여 개의 계단을 더 오르면 동반 고원의 경치를 감상하기에 더할 나위 없이 좋은 곳입니다. 짙은 갈색 비단처럼 20대 소녀의 짙은 녹색 머리카락을 가로지르는 길은 선녀쌍산의 아름다움과 생기로 가득 차 있습니다. 모든 걱정을 덜어내고, 이 장엄한 땅을 탐험하기 위한 여정을 계속할 에너지를 충전하는 듯합니다.
용산(龍山) 꼭대기에 위치한 룽꾸(龍槐) 깃대는 베트남 국민들에게 국가 주권의 신성한 상징으로 여겨집니다. 하장에 오면 룽꾸 깃대는 방문객들이 가장 먼저 찾는 곳입니다. 산 중턱에서 286개의 계단을 오르면 해발 1,700m 높이의 깃대에 도달하게 됩니다. 한때 전투에 참여했던, 비바람에 시달리는 머리카락을 가진 참전 용사들이 바람에 펄럭이는 붉은 깃발 아래 깃대 꼭대기에 발을 디디는 모습은, 베트남을 영웅적으로 만든 영웅들의 모습을 더욱 자랑스럽게 여깁니다.
2017년의 원점으로의 귀환 여행은 모든 사람에게 아름다운 추억과 잊지 못할 추억을 안겨주었고, 우리로 하여금 우리나라를 더욱 사랑하게 만들었습니다.
작가:Pham Dinh Lan의 기사, Nguyen Long의 사진
최신 뉴스
이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