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크숍에 참석하세요:
- 광닌성 측에서는 부티투투이 박사(광닌성 인민위원회 부위원장), 응우옌티한 여사(광닌성 문화체육국장), 쩐반빈 씨(광옌성 인민위원회 상임부위원장)가 참석했습니다.
- VNU 측에서는 응우옌 킴 손(Nguyen Kim Son) 부교수(당위원회 서기, VNU 이사), 부 민 지앙(Vu Minh Giang) 교수(VNU 과학 및 훈련 위원회 위원장), 응우옌 꽝 응옥(Nguyen Quang Ngoc) 교수(VNU 베트남 연구 및 개발 과학 연구소)가 참석했습니다. 사회과학 및 인문대학 측에서는 팜 꽝 민(Pham Quang Minh) 교수(인문사회과학 및 인문대학 총장), 응우옌 반 킴(Nguyen Van Kim) 교수(인문사회과학 및 인문대학 당위원회 서기, 부총장)가 참석했습니다.
이번 학술대회에는 사회인문과학대학, 베트남학개발과학연구소, 하노이 교육대학 1·2, 홍득대학교, 베트남 군사사연구소, 꽝닌 박물관 등 교육 및 연구 기관 소속 과학자 41명이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특히 오사카대학교, 쇼와여자대학교, 베이징대학교, 중국연구소, 한국연구소, 릿쿄대학교 등 해외 학자들도 참석했습니다.

베트남의 고대 및 중세 역사에서 몽골에 맞선 세 차례의 저항 전쟁 승리, 특히 쩐 왕조의 대월국(大越國)이 1288년에 거둔 박당 전투 승리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녔습니다. 이는 대월국의 성숙함을 확인하고, 외세의 침략에 맞서는 베트남 국민의 독립심, 자립심, 그리고 단결심을 보여준 사건이었습니다. 동시에 이러한 사건들은 지역과 세계의 역사 과정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전쟁 이후, 쩐 왕조는 국내 화해 정책과 기발한 외교적 수단을 통해 대월국의 평화를 유지하고 공고히 하며 번영의 시대를 열었습니다.
2018년은 박당(Bach Dang) 왕조가 몽골-응우옌(Mong-Nguyen) 군대에 승리한 지 730주년(1288-2018)과 쩐년통(Tran Nhan Tong) 황제 서거 710주년(1308-2018)을 기념하는 해입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13세기 세계사에서 박당과 쩐 왕조"를 주제로 한 국제 학술 대회가 개최되었습니다. 이 대회는 박당 왕조의 승리와 몽골-응우옌 저항이 베트남 민족사뿐 아니라 지역사, 그리고 세계사에서 차지하는 중요성과 핵심적 위치를 인식하고 평가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또한 이 대회는 저항 전쟁에서 쩐 왕조의 공헌, 전후 시대의 개방적이고 진보적인 정책, 특히 쩐년통 황제의 민족 화해 이념을 명확히 하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꽝닌성 인민위원회를 대표하여 부 티 투 투이 박사는 베트남 건국과 수호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왕조를 주제로 한 국제 학술대회 개최지로 꽝닌성이 선정된 것을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이 학술대회는 박당(Bach Dang) 왕조의 승리와 쩐(Tran) 왕조에 대한 연구의 보고(寶庫)를 더욱 풍성하게 하여, 미래 세대에 문화적, 역사적 가치를 전승하고 이 신성한 땅의 관광 명소를 확대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부 티 투 투이 박사는 꽝닌성의 경제 발전과 더불어 사회문화적 발전 정책에 대한 자문을 제공하기 위해 연구 시설과 대학들이 과학 및 지적 생산물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기를 희망합니다.

Vu Thi Thu Thuy 박사가 워크숍에서 개회사를 했습니다.
베트남 국립대학교를 대표하여 응우옌 킴 선 부교수는 이 학술대회의 큰 과학적, 정치적 의의를 강조했습니다. 이 학술대회는 박당(Bach Dang) 3차 전승에 대한 연구 결과와 업적을 학제적, 전문적 관점에서 검토하고 분석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 더 나아가, 13세기 쩐 왕조 치하 다이 비엣(Dai Viet)의 몽골에 대한 대응과 저항을 한국과 일본 등 아시아 국가들과 비교합니다. 또한, 참석자들은 쩐 왕조와 특히 꽝닌(Quang Ninh) 지역, 그리고 동북부 지역의 문화적 가치를 증진하기 위한 권고와 해결책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할 것입니다.

응우옌 킴 손(Nguyen Kim Son) 부교수님이 컨퍼런스 개회 연설을 하셨습니다.
전체 회의에서 워크숍은 두 가지 발표를 들었습니다.
응웬 꽝 응옥 교수(베트남 연구 및 개발 과학 연구소)가 쓴 논문 "박당 전통"은 938년, 981년의 박당 3승과 1288년의 절정에 이르는 역사적 전개를 검토했습니다. 이를 통해 이 논문은 애국심, 침략자를 파괴하려는 의지, 인민 전쟁에서 지역 세력의 결합과 능숙한 활용, 위험한 도전에 맞서는 봉기 등 베트남 사람들의 좋은 자질이 결정화된 박당 전통의 존재를 확인했습니다.

Nguyen Quang Ngoc 교수가 논문을 발표합니다.
모모키 시로 교수(일본 오사카대학교)의 논문 "쩐 왕조 역사의 다층적 관점: 세계사적 방법론의 새로운 접근"은 세계사 접근 방식을 간략하게 소개했습니다. 이 논문은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쩐 왕조 시대 대월(大越)에 대한 여러 쟁점, 즉 13세기 세계화 과정, 온건 국가의 지위, 무사 계급의 역할, 소규모 농경 사회의 형성 등을 조명했습니다.

모모키 시로 교수가 논문을 발표합니다.
전체 회의가 끝난 후 워크숍은 두 개의 소위원회로 계속 진행되었습니다.
패널 1: "13세기 세계적 맥락 속의 몽골 제국과 대월국" 이강한 박사(한국학연구소)의 "몽골-원나라의 침략 위협에 대한 고려의 대응", 응우옌 투 히엔 박사(하노이 국립사범대학교 역사학부)의 "13세기 북방의 침략 압력 하에서 남송과 몽골-원나라와의 관계 속에서의 쩐 왕조", 요카이치 야스히로 부교수(일본 릿쿄대학교 예술학부)의 "전쟁과 몽골 통치(팍스 몽골리카)의 영향 하에서의 아시아 해상 무역", 쩐 티 타이 하 부교수(사이공대학교 사회교육학부)의 "13세기 일부 러시아 역사 작품에 나타난 대월국 군대와 인민의 몽골에 대한 저항 전쟁" 등의 발표가 포함됩니다. "몽골의 서아시아 정복: 1258년 바다의 사례" - 응우옌 반 킴 교수(베트남 국립 사회과학 및 인문학 대학교 부총장) - 도안 퉁 안(베트남 국립 사회과학 및 인문학 대학교)

회의에 참석한 대표단들이 기념사진을 찍었다.
패널 2 "박당 전투: 새로운 문서, 새로운 인식"은 Hoang Anh Tuan 부교수(VNU 사회과학 및 인문학 대학)의 "13세기 몽골-원에 대한 3번의 승리와 쩐 왕조: 역사적 기후학적 관점", Dang Baohai 부교수(중국 베이징 대학)의 "박당 전쟁과 몽골-원 포로에 관하여", Nguyen Thi Thuy 부교수(홍득 대학, 탄호아)의 "쩐 왕조의 흔적과 침략자들에 맞선 두 번째 저항 전쟁(1285년)", Dang Hong Son 부교수(VNU 사회과학 및 인문학 대학 역사학부)의 "쩐 왕조의 고고학적 문서를 통한 몽골의 베트남 침략", "교육 - 쩐 왕조의 과거 시험과 "유교 지식인 계층의 형성" - 도 흐엉 타오 박사(베트남 국립 사회과학 및 인문학 대학 역사학부), "박당 전장에서의 지분 필드의 역할 - 최근 고고학적 결과를 통한 새로운 인식" - 레 티 리엔 박사(베트남 사회과학원 고고학 연구소) - 마크 스타니포스 교수(호주 플린더스 대학) - 준 키무라 박사(일본 도카이 대학).
Vu Minh Giang 교수는 회의 폐회사에서 회의에서 도출된 몇 가지 중요한 요점을 요약했습니다. 첫째, 박당 전투의 승리를 군사적 측면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다방면에서 정치적, 문화적, 사회적 관점에서 평가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민중의 전쟁 전략을 전개하기 위해 쩐 왕조는 지역 세력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민중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야 했습니다. 둘째, 이 사건을 지역 및 세계의 전반적인 맥락에 놓고, 동시에 쩐 왕조를 베트남 및 세계의 다른 왕조들과 비교해야 합니다. 세계적인 관점을 통해 과학자들은 더욱 포괄적이고 객관적이며 풍부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셋째, 회의의 과학적 결과를 꽝닌성의 경제, 문화,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실질적인 제품과 자원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박당 전투를 더욱 시각적으로 재현하면 전투의 역사적, 문화적 가치에 더 큰 매력을 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의미에서 Vu Minh Giang 교수는 조직위원회, 과학자, 연구자들의 작업 정신을 높이 평가하고 이번 컨퍼런스가 큰 성공을 거두었다고 선언했습니다.

Vu Minh Giang 교수가 컨퍼런스의 마지막 연설을 했습니다.
작가:트란 민
최신 뉴스
이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