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의 강의가 시작된 지 5분도 채 되지 않아 그는 숨을 헐떡이며 들어왔다. "죄송합니다, 선생님. 녹화를 좀 늦게 마쳤어요." 종이 처음 울리자마자 그는 가방을 챙겨 화살처럼 차고로 달려갔다... 저널리즘 전공생들이 르 마이 흐엉 짜에서 본 그 모습이었다. 우리에게는 공부를 하면서 돈을 벌어 자립하고 꿈을 이루는 것이 삶의 방식이 되었다.
강의실에서의 발사대
흐엉 짜의 일정은 항상 빠듯합니다. 오전 6시에 일어나 서류를 준비하고 7시 30분에 베트남 텔레비전 방송국에 가서 보도를 촬영하고, 학교에 연락하여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거의 12시까지 음악 클립을 준비합니다. 오후 1시까지는 학교에 가야 합니다. 저녁에는 공부하고 프로그램 대본을 준비합니다. 휴일에도 쉴 시간은 없습니다. 새벽 2시에 시작하는 새로운 하루는 누구에게나 힘든 일입니다. 하지만 투 하처럼 시각 저널리즘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는 당연한 일입니다. 조명, 카메라, 비옷, 대본 등 모든 것을 챙겨 새벽 2시에 집을 나서는 것은 시각 저널리즘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는 흔한 일입니다. "밤새도록" 촬영 현장에 도착하여 제때 도착하기 위해 밤 11시에 집에 돌아오는 것은 흔한 일입니다.
"저는 아버지처럼 의료계에 종사하지 않았고, 어머니처럼 교사라는 직업에 안주하고 싶지는 않았습니다. 가족 중 누구도 가지 않았던 저널리즘의 길을 택했습니다. 그리고 이 직업으로 생계를 이어갈 방법을 찾았습니다. 학교에서 많은 것을 배우고 선생님들은 매우 헌신적이셨지만, 저는 만족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많은 학생들이 실습을 통해 경험을 쌓고 자신만의 학습 방법을 찾았습니다. 저는 그저 앉아서 이론만 듣고 싶지 않았습니다. 기회가 올 거라고는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저는 스스로 기회를 찾았고, 그 기회들은 저를 받아들였습니다. 2년간 강의실에서 공부하고 스튜디오에서 실습하며 성장한 2년은 제가 이 어려운 저널리즘이라는 직업을 더 깊이 이해하고 사랑에 빠진 시간이기도 했습니다. 저널리즘 학생들은 흔히 말하는 것처럼 그저 역동적인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활동적입니다. 그리고 저는 기회가 오기를 기다리지 않는 학생들 중 한 명일 뿐입니다."레 마이 흐엉 트라(K49 BC&TT)
베트남 국립 하노이 인문사회과학대학 산하 저널리즘 커뮤니케이션 센터는 오랫동안 저널리즘 커뮤니케이션 학부 학생들의 두 번째 고향이었습니다. 이곳에서 그들의 첫 영화가 탄생했습니다. 그리고 이 공통의 고향에서 학생들은 수업 시간부터 방송국의 효과적인 협력자가 되었습니다. Thu Ha, Li Na(K47), Nhat Minh, Tuan Anh, My Hanh(K48), Thuy Tien, Thu Thao, Chi Kien(K49), Thanh Vu, Thu Yen, Thuy Ngan, Manh Thai, Dinh Minh(K50), Trung Nghia, Hoang Anh, Phuong Hong(K51), Lo Linh, Trung Hieu, Thai Ha(K53)...는 VTV3, VTV6의 여러 프로그램에서 MC이자 "스튜디오 조명"을 맡았습니다. 각자 현실에 "도전"하는 자신만의 방법을 찾습니다. Kap Thanh Long(K46 저널리즘 및 커뮤니케이션)은 강의실에서 필수 수업이 끝날 때마다 남은 시간 대부분을 글을 쓸 주제를 찾아 돌아다녔습니다. 잠자리에 들려고 할 때쯤 뉴스룸에서 하동 시장에서 화재가 발생했다는 소식을 전했습니다. 잠이 오려고 했기에 그는…잠을 접어야 했습니다. 그는 오토바이를 타고 제때 정보를 얻기 위해 달려갔습니다. 다음 날 아침 5시에 그는 지쳐 방으로 돌아왔지만, 기사가 완성되어 입가에는 미소가 가득했습니다. 힘들긴 했지만, 2학년 때부터는 인세로 생계를 유지할 수 있었고, 그의 이름은 신문에 정기적으로 실렸습니다. "Kap Thanh Long"은 그의 친구들이 존경하는 "브랜드"가 되었고, 이후 수업에서 본보기로 삼았습니다. 대학교 2학년과 3학년부터 Tuoi Tre의 Bui Dung(K45), Dinh Nha Trang(K47), Xuan Dong, Dinh Tu(K48), Lam Hoai, Quang Phong, The Kha(K49), Tien Thanh(K51) 등 일부 주요 신문에서 많은 학생 이름이 친숙해졌습니다. Tien Phong의 Kap Thanh Long(K46), Minh Thuy, Nguyen Ha, Luu Trinh(K49), Pham Hue(K50); Le Tan(K46), Van Huyen, Chien Thang(K47), Mai Tuyet, To Nga(K48), Thu Thuy(K50), Nguyen Hoai, Dang Ha, Dang Hau(K51), Nguyen Tuan, Thanh Chung, Tien Thanh(K52)... 많은 주요 신문에 게재됩니다. Le Mai Huong Tra, Thu Trang, Trung Nghia(VTV6), Thu Ha(End of Day News) 등의 이름은 작은 화면 시청자들에게 익숙해졌습니다.
대학에서 선생님들이 우리에게 가르쳐 주시는 것들은 우리가 일하는 데 매우 중요한 기반이 됩니다. 하지만 거기서 멈추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활기찬 삶은 우리에게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요구하며, 사회적 지식을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이는 언론인에게 필수적인 요건입니다. 저널리즘 전공 학생들에게는 미래의 전문적 역량을 위한 지식을 축적하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딘하우(K52 BC&TT)
빨리 먹고, 빨리 자고, 빨리 말하고, 빨리 생각하고, 빨리 돈을 버는 것... 빨리... 이것이 바로 언론인들의 "5가지 금식"입니다. 사람들은 여전히 우리의 그런 특징을 지적하며 농담을 합니다. 그리고 그 역동적인 환경 속에서 2학년과 3학년 학생들은 매달 수백만 달러 규모의 클럽을 결성하여 (매달 수백만 달러의 로열티를 받으며) 스스로를 부양하고 꿈을 키우고 있습니다. 민 투이(K49 저널리즘 및 커뮤니케이션)는 이렇게 털어놓았습니다. "인생은 강의실에서 이론만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도록 내버려 두지 않습니다. 우리는 스스로를 주장하고 자존감을 높이고 싶으며, 행동해야 합니다!" 강의실에서 4년간 열심히 공부하고 적극적으로 삶에 참여한 후, 졸업 후 민 투이는 띠엔퐁 신문사에서 일했습니다. 현재 그는 하띤성 띠엔퐁 신문사의 상주 기자로 2년째 근무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행동한다 = 우리는 존재한다
"언론학 전공생들은 역동적입니다."라고 다른 학과 학생들은 종종 말합니다. 사실, 저널리즘 전공생은 항상 역동적인 사람이어야 합니다. 이는 실무적인 요건일 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요건이기도 합니다. 캅 탄 롱(Kap Thanh Long) 씨는 자신의 견해를 이렇게 밝혔습니다. "정보 기술 시대는 우리에게 역동적인 삶을 요구합니다. 수업 시간에 선생님이 전하는 내용에만 의존해서는 삶의 요구를 충족할 수 없습니다. 현실에 뛰어들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그러한 환경은 우리에게 미래의 일을 위한 풍부한 경험을 제공할 것입니다." 현재 롱 씨는 탄 니엔 신문(Thanh Nien Newspaper) 홍강 삼각주 지역 지부장을 맡고 있습니다.
제 눈에 저널리즘·커뮤니케이션학부 학생들은 언제나 존경스러운 사람들입니다. 그들은 단순히 입학 성적 상위권에 있는 저널리즘학부 학생들일 뿐만 아니라, 매우 역동적인 사람들입니다. 저널리즘학부 학생들과 이야기를 나눌 때마다 저는 항상 나이와 인생 경험에서 훨씬 성숙한 분들을 마주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습니다.탄 중(K53 TT-TV)
4년간 TV에 몸담으며 강의실에서 쌓은 지식과 베트남 TV에서 3년간 공동 작업한 경험을 바탕으로, 투 하(Thu Ha)는 졸업 후 엄격한 심사를 받을 준비가 되었습니다. 하의 졸업 논문은 직접 촬영하고, 대본을 쓰고, 해설을 낭독한 TV 작품이었습니다. "전문 지식도 중요하지만, 실무 경험도 그만큼 중요합니다. VTV와 함께했던 시간은 졸업할 때 용기와 자신감을 주었습니다. 월급은 40~50만 원 정도로 식비와 주유비도 부족하지만, 미래를 위한 많은 경험을 쌓았습니다. 적어도 졸업 후에는 더 이상 이 직업에 얽매이지 않을 겁니다. 나중에 익사하지 않으려면 수영을 배워야 합니다!"라고 하 씨는 속마음을 털어놓았습니다. 프로그램 "페어리 가든"의 정규 협력자라는 직업 때문에 2년간 "고군분투"했던 흐엉 트라(Huong Tra)는 "직업으로 살고 죽겠다"고 결심했습니다. "저는 텔레비전과 아이들을 끝까지 따라갈 것입니다. 제 꿈은 앞으로 아이들을 위한 별도의 TV 채널을 만드는 것입니다. 지금 바로 그 프로젝트를 준비할 것입니다." "페어리 가든"에서 "골든 벨", 그리고 "도레미"까지, 석사 과정을 마친 후 "페어리 가든"의 요정은 현재 재학 중 장학금을 받아 프랑스 유학 중입니다. 종이 울리자 티엔 탄(K52 언론정보학과)은 화살처럼 달려 나갑니다. 49초 만에 그는 차를 타고 북적이는 군중 속으로 사라집니다. 오늘날 젊은이들은 삶의 흐름과 정보의 고속도로 속으로 뛰어들어 이 세상에서 자신의 존재를 확인합니다. 그리고 차는 앞으로 굴러갈 때만 서 있을 수 있습니다. 우리는 행동합니다 = 우리는 존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