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노이 국립대학교
사회과학 및 인문학 대학
==================
부티하이
철학적 사고
아우구스티노의
전공: CNDVBC & CNDVLS
코드: 62 22 03 02
철학 박사 학위 논문 요약
하노이 - 2019
프로젝트 완료 장소:
사회과학 및 인문학 대학,
베트남 국립 대학교, 하노이
과학 지도교수: 1. 준교수. 티에스. 응우옌 꽝 훙
반대의견 1:
반대의견 2:
반대의견 3:
본 논문은 20일(월, 일, 시)에 베트남국립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박사학위논문평가위원회 회의에서 옹호되었습니다.
해당 논문은 다음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 베트남 국립도서관
- 정보 센터 - 도서관, 베트남 국립 대학교, 하노이
소개
1. 선택 이유주제
아우구스티누스는 가톨릭 교회의 가장 위대한 사상가 중 한 명이자 성인으로 시성된 유명한 주교였으며, 역대 최고의 지식인이었습니다. 그의 헌신적인 삶과 지적 수준은 중세부터 오늘날까지 가톨릭 교회와 서양 문화에 특별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영국의 학자이자 철학자인 데이비드 E 쿠퍼는 "기독교 철학이 아우구스티누스만큼 위대한 인물을 배출하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습니다.[14, 148]
아우구스티누스가 서양 사상에 기여한 가장 큰 업적 중 하나는 인류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특히 인간의 내면 세계에 대한 독특한 발견으로 유명합니다. 어거스틴의 미묘한 인류학적 탐구는 사람들을 진정한 행복으로 이끄는 윤리적, 영적 실천에 대한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했습니다. 특히 가톨릭 교회와 서양 문화 전반에 미친 그의 영향은 이론적일 뿐만 아니라 실천적으로도 깊었습니다.
1986년 혁신과정을 실시한 이후 3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세계화와 국제적 통합과정을 거치면서 베트남은 많은 분야에서 큰 성과를 이루었으며, 특히 경제 분야에서 눈부신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사람들의 물질적 삶이 근본적으로 개선되면서, 베트남은 20세기 90년대에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10개국 목록에서 벗어났습니다. 그러나 물질적 삶이 풍요로워지는 반면, 우리는 도덕적 타락과 사회의 많은 정신적, 문화적 측면을 목격하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권력, 명예, 돈, 지위 등 세상적인 열정을 추구하는 데 너무 몰두하여 고귀한 인간적 가치를 잊어버립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동서양 철학의 연구는 인간적 가치의 정수를 계승하여 민족 문화를 발전시키고, 인간 도덕과 삶의 방식의 저하를 극복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됩니다.
또한 그러한 맥락에서 기독교 철학 전반과 특히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이 연구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기독교 철학은 고유한 성격을 지닌 독특한 철학으로, 서양 문화에 특히 큰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서양인의 성격에 기여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오랫동안 베트남에서 기독교 철학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었으며, 대부분 가톨릭 교회 신학교에서 집중적으로 이루어졌고, 주로 종교적, 신학적 관점에서 접근되었습니다. 게다가 오늘날 베트남에서는 기독교 철학에 대한 편견이 여전히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중세 서유럽 철학을 "암흑시대"로 여기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문화와 과학이 아무런 진전을 이루지 못한 오랜 시기를 의미합니다. 그러나 역사는 기독교 철학이 기독교를 통해 인간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고 지금도 끼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해 왔습니다. 특히 서양인의 삶의 가치와 윤리, 영성의 실천에 방향을 제시하고, 동시에 문화적 찬란한 업적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베트남이 생활 윤리의 쇠퇴에 직면해 있는 상황에서, 일반적인 기독교 철학과 특히 아우구스티누스 철학을 연구하는 것은 이론과 실천 모두에서 실질적인 의의를 갖습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아우구스티누스는 가톨릭 교회의 뛰어난 사상가 중 한 사람으로, 이론과 실천 모두에서 가톨릭 교회의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러나 베트남에서 아우구스티누스 철학에 대한 현재 연구는 주로 특정 분야의 아우구스티누스 철학 및 신학 사상을 연구하는 데 그치고 있으며, 이 사상가에 대한 체계적인 전문서적은 부족합니다. 따라서 본 논문의 저자는 그의 철학적, 신학적 사상을 연구하고 명확히 하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그의 사상 중 많은 부분이 오늘날 베트남의 문화적, 정신적 삶을 개선하는 데 여전히 매우 유용하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위와 같은 이유로 연구자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적 사상내 논문을 써주세요
2.목적과 사명논문의
본 논문의 목적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 사상을 체계적이고 심도 있게 제시하여 그 사상 체계의 공헌과 한계를 지적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업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아우구스티누스 철학의 탄생을 위한 조건과 전제를 명확히 합니다.
-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 사상의 기본 내용을 연구하고 명확히 하며, 존재론, 인류학, 윤리학, 인식론 등의 문제에 초점을 맞춥니다.
-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적 사상의 공헌과 한계를 분석하고 평가합니다.
3. 논문 연구의 주제 및 범위
논문의 연구대상: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사상.
논문의 범위: 내용과 관련하여, 본 논문은 인간 문제를 중심으로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적 이념 체계의 기본 내용인 존재론, 인류학, 인식론, 윤리학의 문제를 밝히는 데 중점을 둘 것이다. 문서에 관하여는 논문의 연구내용을 중심으로 서술한다.자서전(고백)- 아우구스티누스의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또한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철학자의 다른 작품에서 발췌한 인용문을 사용했습니다.독백(Soliloquia),영혼불멸에 대하여(De immortalitate animae),자유의지(De libero arbitrio), 삼위일체(De Trinitate), 신의 도시(De civitate)에 관하여.
4. 이론적 근거 및 연구 방법
이론적 근거: 본 논문은 변증법적 유물론과 역사적 유물론의 이론적 근거, 그리고 철학사 연구에 있어서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을 바탕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방법: 저자는 변증법적 유물론의 주요 연구 방법을 사용합니다. 즉, 추상에서 구체로, 논리와 역사의 통합, 분석과 종합의 통합, 귀납과 연역의 통합, 비교 방법, 일반화 방법, 추상화 방법 등입니다.
5. 논문의 기여
- 본 논문은 아우구스티누스 철학의 탄생에 대한 가장 중요한 조건과 전제를 분석하고 명확히 한다.
- 본 논문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 사상의 기본 내용인 존재론, 인류학, 윤리학, 인식론을 체계화하고 심층적으로 분석하였습니다.
- 본 논문은 문화적 관점과 마르크스주의적 입장에서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 사상의 공헌과 한계를 분석하고 명확히 했습니다.
6. 논문의 이론적, 실제적 의의
이론상으로는위에서 언급한 연구 과제를 수행한 기초 위에서, 본 논문은 중세 기독교 철학의 가장 위대한 철학자이자 신학자 중 한 사람의 철학적 사상에 대한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연구에 기여합니다.
실제로이 논문은 특히 기독교 철학과 서양 철학 전반에 대한 연구와 교육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논문은 인류학과 종교철학 분야의 연구와 조사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7.구조명제
본 논문은 서론, 결론, 참고문헌 목록, 논문과 관련된 저자의 저작 목록 외에 4장 10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콘텐츠
제1장 "아우구스티노의 철학적 사상" 주제와 관련된 연구 개요
1.1. 아우구스티노 철학사상의 탄생 조건과 전제에 관한 연구
-일부 국내 연구 자료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 사상이 탄생하기 위한 조건과 전제를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마르크스 이전의 사상사Tran Duc Thao (1995) 지음;고대 서양 철학은 기독교에 영향을 미쳤다판 반 틴(Phan Van Tinh) 지음(2010);출처로 돌아가자. 교부들의 시대(제2권)Phan Tan Thanh 작성(2013).
- 일부 외국 연구 자료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 철학 사상의 탄생을 위한 조건과 전제를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철학적 이야기저자: Bryan Magee (2003);세계의 철학 학교들저자: David E Cooper (2005);서구 사상의 변화 과정Richard Tarnas(2008) 등이 작성.
1.2.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적 사상과 관련된 연구 작품
- 국내 연구 프로젝트:
아우구스티노의 철학 사상 전반에 대한 몇 가지 일반적인 연구는 다음과 같습니다.서양 철학의 역사. 제2권: 중세 시대Nguyen Trong Vien(1998)의 작품서양 철학의 역사. 제3권 중세 철학Le Ton Nghiem (2000) 지음서유럽 중세 철학Doan Chinh 및 Dinh Ngoc Thach 저(2008);서양 철학의 역사. 1권: 고대 철학, 중세 철학, 르네상스 철학도민합(Do Minh Hop) 지음(2014). 위 작품들의 공통점은 아우구스티누스 철학의 가장 두드러진 사상을 일반적이고 체계적인 방식으로 제시했다는 점입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사상에 대한 연구 저작물 중에는 일반 연구와 일반 연구 외에도 각각의 주제를 깊이 있게 탐구한 저작물도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온톨로지에 대한 일부 연구:복음의 하나님. 삼위 일체Nguyen Van Khanh 작성,세 인격으로 존재하는 한 분 하나님의 신비탄옌의. 인류학에 관한 몇 가지 작품:영적 삶Phan Tan Thanh (2002) 지음;기독교 인류학Le Van Chinh (2005) 지음;기독교 인류학. 2화: 원죄와 은혜Tran Ngoc Anh (2015) 지음.
- 해외 연구 프로젝트: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에 대한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연구 자료는 다음과 같습니다.서론 à l'étude de Saint Augustin, Étienne Gilson의 브린(1929);철학 연구(철학사) 요하네스 히르슈베르거(Johannes Hirschberger) 지음(1948)철학의 역사 제2권: 중세 철학저자: Frederick Copleston (1993).
다음과 같은 존재론적 문제와 관련된 일부 연구는 다음과 같습니다.중세 문화 범주AJA Gurevich(1998)가 아우구스티누스의 시간 개념을 분석한 책입니다.삼위일체 벽의 신비미셸 론데(2010) 삼위일체 개념의 역사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입니다.저자를 통한 창세기창조 문제에 관한 게오르크 크라우스의 연구. 다음과 같은 일부 인류학 연구:아우구스티누스에 따른 인간 정신의 구조 De Trinitate에서의 자기 성찰과 신에 대한 지식저자: Johannes Brachtendorf (2000);저자를 통한 신학적 인본주의Georg Langemeyer 지음. 윤리에 대한 몇 가지 연구:현대 윤리: 기원과 문제점작성자: Elena Vxevolodovna Zolotkhina - Abolina (1998);"Iohannis evangelium tractatus"와 "in Epistulam Iohannis ad parthos"에 제시된 히포의 성 어거스틴의 도덕 이론과 적용저자: John Paschal Bane (1998);서양 철학 입문Samuel Enoch Stumpf 및 Donald C. Abel(2004) 저중세의 주요 미덕: 4세기부터 14세기까지의 도덕 사상 연구István P. Bejczy(2011) 등
1.3. 아우구스티누스 철학 평가와 관련된 연구
Augustino의 삶과 경력, 그리고 현재 베트남 젊은 가톨릭 신자들에게 미친 그의 영향을 연구하는 베트남에서 가장 유명한 책 중 하나는 다음과 같습니다.어거스틴. 오늘날 청소년의 성인Jorathe Purple Sun의(2016).
외국 학자들이 쓴 몇몇 전문서에는 아우구스티노의 철학적 사상에 대한 논평과 평가가 어느 정도 담겨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세상을 움직인 성인들: 안토니오, 아우구스티누스, 프란치스코, 이그나티우스, 테레사르네 풀롭-밀러(1945);위대한 기독교 사상가들Hans Kung (2010) 지음;서양 철학의 세계를 발견하는 여행저자: William F. Lawhead (2012).
1.4. 추가 연구가 필요한 논문 문제
"주제와 관련된 연구 상황의 개요를 통해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적 사상", 우리는 이전 연구의 성과를 요약하고 추가 연구가 필요한 논문 문제를 식별합니다.
첫 번째위의 연구들은 다양한 목적과 접근 방식을 취했으며, 아우구스티누스 철학의 탄생을 위한 조건과 전제에 대해 어느 정도 언급했습니다. 그러나 이를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방식으로 연구한 연구는 없었습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이 문제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포괄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월요일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 사상은 국내외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왔습니다. 주목할만한 국내 학자로는 Nguyen Trong Vien, Le Ton Nghiem, Phan Tan Thanh, Do Minh Hop, Doan Chinh 및 Dinh Ngoc Thach가 있습니다. 기독교 철학 분야의 선도적이고 가장 저명한 전문가 중 한 명은 에티엔 질송이며, 연구자 요하네스 히르슈베르거와 프레데릭 코플스턴도 있습니다. 학자들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 사상에 대한 체계적이고 일반적인 연구를 제공했는데, 이는 이 철학자의 사상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위한 매우 중요한 기초가 되었습니다. 우리는 기존의 연구를 계승하여 아우구스티노의 철학 사상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을 체계적이고 심도 있게 제시할 것이며, 특히 그가 남긴 대표적인 작품들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구체적이고 설득력 있는 증거를 제공할 것입니다.
화요일지금까지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을 평가하면서 이 문제에 대해 집중적으로 설명한 연구는 거의 없었습니다. 우리가 접할 수 있는 연구들은 주로 가치 측면을 강조하고 있으며, 아우구스티누스의 이념 체계의 한계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기존의 연구를 계승하고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사상을 체계적으로 연구한 것을 토대로,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 그의 철학사상에 대한 몇 가지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우리는 이것이 이 연구의 특히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합니다.
제2장 아우구스티누스 철학 사상의 탄생을 위한 조건과 전제
2.1. 조건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 사상의 탄생을 위하여
2.1.1.역사적 맥락
아우구스티누스는 서구가 고대에서 중세로 전환하던 4세기 후반과 5세기 초반에 살았습니다. 로마 사회는 사회생활의 모든 측면에서 위기에 직면해 있었습니다. 경제는 쇠퇴했고, 정치는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었으며, 사회적 갈등은 해결될 수 없었습니다. 로마의 경제, 정치, 사회 생활의 위기는 게르만족의 침략으로 인해 극에 달했다. 476년에 독일의 군사 지도자가 서로마 제국의 마지막 황제를 전복하고 황제가 되었으며, 공식적으로 봉건 제도를 수립했습니다. 이 사건은 역사상 노예제도의 공식적인 종식을 의미했으며, 서구 사회는 봉건주의의 길로 접어들었고 중세 시대가 공식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2.1.2. 문화적, 영적 맥락
아우구스티누스 철학은 자연과학, 문학, 역사, 예술, 철학, 종교 등 모든 분야에서 번성했던 로마 문화의 맥락에서 형성되고 발전했습니다. 특히, 서기 1세기에 기독교가 형성되고 발전한 것은 서양인의 의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킨 문화적 전환점의 증거입니다. 서기 1세기에 기독교는 정부의 박해와 다른 종교의 반대에 직면했을 뿐만 아니라, 이단과 이단 사상의 등장으로 인한 내부 갈등도 겪었는데, 이것이 교부학의 기원이 되었습니다. 313년,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밀라노칙령을 발표하여 기독교의 법적 지위를 인정하였고, 380년에는 기독교가 국가종교로 인정되었습니다. 그 획기적인 변화는 새로운 요구 사항을 제기했으며, 교부들은 기독교를 새로운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신앙 체계를 개발하고 심화하는 데 주력해야 했습니다. 이것이 아우구스티누스를 비롯한 많은 기독교 지식인들이 수행해야 했던 위대한 사명이었으며, 바로 이러한 맥락이 그의 사상의 형성과 발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2.2. 아우구스티누스 철학의 이념적 전제
2.2.1.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영향을 준 몇몇 그리스 철학자들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 사상은 그리스 철학 전통의 분위기 속에서 형성되고 발전했습니다. 그는 그리스 철학을 기독교 교리를 설명하고, 신학을 발전시키고, 기독교가 서양 문화의 정체성에 쉽게 침투하고 확산되는 데 도움이 되는 유용한 지적 수단으로 여겼습니다. 그는 다양한 그리스 철학자와 철학 학파의 영향을 받았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두드러진 것은 플라톤과 신플라톤주의였습니다. 이 두 학파가 그의 사상의 여러 분야에 가장 직접적이고 심오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2.2.2. 성경
그리스 철학이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직접적이고 심오한 영향을 끼쳤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지만, 성경은 그의 사상 체계 전체의 정신적 기둥이었습니다.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성경은 진리의 견고하고, 불변하며, 부인할 수 없는 기초였으며, 그의 임무는 물론 기독교 철학자와 신학자들의 임무는 성경에 확립된 교리 체계를 계속해서 명확히 하는 것이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성경이 어거스틴에게 미친 영향을 다음과 같은 근본적인 문제, 즉 신, 창조론, 악과 죄, 지식과 구원의 역사에 대해 분석해 보겠습니다.
2.2.3. 필로와 초기 교부들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은 먼저 성경에 나타난 진리의 기초에 영향을 받았고, 그다음에는 그리스 철학, 마지막으로 교부주의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서기 1세기의 교부들은 아우구스티누스가 자신의 사상 체계를 발전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전제, 주장, 특히 중요한 지침을 제공했습니다. 그는 특히 계시된 진리와 그리스의 합리적 문화를 조화시키려는 교부들의 정신에 영향을 받았는데, 교부들은 그가 그리스 전통과 유대-기독교 전통을 완벽하게 결합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습니다.
2.3. 아우구스티노 - 그 사람과 그의 대표작들
어거스틴은 354년 11월 13일 북아프리카(예전에는 로마 제국의 일부)의 타가스테에서 태어났습니다. 타가스테는 누미디아 속주의 작은 도시로, 현재 알제리에 속합니다. 그는 이교도인 아버지와 독실한 기독교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 어거스틴은 어린 시절에 수많은 속임수, 거짓말, 도둑질 등을 일삼는 장난꾸러기 아이였습니다. 젊은 시절에는 세상적인 삶의 열정, 즉 지위, 명예, 돈, 정욕 등을 추구하는 데 몰두했습니다. 그는 공부를 했고 당시 유명한 웅변가 중 한 명이 되었습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인생에서 전환점은 그가 수사학 교수직을 사임하고 기독교로 개종하여 387년에 암브로시오 주교로부터 세례를 받았을 때였습니다. 히포의 주교가 된 이후, 그는 가톨릭 교회에 많은 공헌을 했습니다. 429년에 반달족이 북아프리카를 침략했습니다. 430년에 히포라는 도시가 함락되고, 아우구스티누스는 430년 8월 28일에 76세의 나이로 사망했습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교회와 서양 문화에 거대한 영적 유산을 남겼는데, 그 중에는 자서전, 철학, 변증론, 교리, 반박, 성경 주석, 윤리, 서신, 연설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 약 232권이 포함됩니다. 그들은 가톨릭교회의 백과사전과 같습니다.
끝내다제2장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은 서기 1세기의 역사적 맥락에서 형성되고 발전되었는데, 이 시기는 고대에서 중세로의 전환기이며 노예 소유 체제가 쇠퇴하던 시기였지만, 봉건 체제의 씨앗이 나타났습니다. 로마제국은 포괄적인 경제적, 정치적, 문화적, 사회적 위기에 빠졌으며, 이는 로마 역사상 가장 어두운 시기로 여겨진다. 이 시기에는 서구 사회에 많은 문화적, 정신적 변화가 일어났는데, 그 중 가장 두드러진 것은 내부적 모순과 외부적 갈등을 겪으며 기독교가 형성되고 발전한 것입니다. 서유럽의 문화적, 정신적 삶은 복잡해지고, 옛것과 새것이 뒤섞였으며, 오래된 전통은 점차 사라지고 새로운 전통이 형성되고 발전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한 역사적, 영적 문화적 맥락은 아우구스티누스 철학의 내용과 발전 경향을 결정지었습니다. 이는 어떤 시대의 어떤 교리나 이념 체계도 그 시대의 모든 조건과 전제에서 추출된 산물임을 보여줍니다. 칼 마르크스가 "철학자는 땅에서 자라는 버섯이 아니다. 그들은 그 시대, 그 민족의 산물이며, 그들의 가장 미묘하고 소중하며 보이지 않는 에너지가 철학적 개념에 반영되어 왔다"라고 단언했듯이 말입니다.
그리스 철학, 성경, 초기 교부주의는 아우구스티누스 철학으로 가는 길이었습니다. 이 세 가지 사상의 근원 가운데, 성서는 영적인 기둥이며,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상을 포괄적으로 지배하는 신앙 진리의 가장 중요한 토대입니다. 그리스 문화는 신앙의 진실을 뒷받침하는 합리적 주장을 제공하는 철학적 전제입니다. 교부주의는 문화적 전통의 결합이라는 개념을 열어주었습니다. 이러한 기초 위에서 아우구스티누스는 두 문화적 전통을 철저히 결합하고 그것들을 공통된 흐름으로 통합했습니다. 이 결혼은 기독교뿐만 아니라 서양 문화의 전반적인 발전에 있어서도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 결혼이었으며, 진리의 다원주의 시대를 종식시키고 진리의 일원론으로 나아가면서 서양 문화의 정체성 내에서 통일성을 확립했습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 사상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요인 중 하나는 철학자의 삶과 경력에서 나타난 복잡한 변화입니다. 그의 인생은 "과거가 없는 성인은 없고, 미래가 없는 죄인은 없다"는 유명한 말을 증명했습니다. 그의 인생은 세속적 삶의 정욕에 빠진 플레이보이, 방탕자에서 성스러운 삶으로 돌아오는 여정이었습니다. 그의 인생은 또한 진정한 진실을 찾고자 하는 강렬한 열망의 여정이었습니다. 삶의 기복과 내면의 갈등은 그가 확고한 진실을 찾는 데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자료입니다. 그는 독특한 사상을 담은 많은 기념비적인 작품을 통해 인류에게 거대한 영적 유산을 남겼으며, 신학, 철학, 과학, 문학, 역사 등 여러 분야에서 미래 세대에게 영감을 주었습니다. 그는 기독교 사상사에서 가장 위대한 신학자이자 철학자 중 한 명으로 여겨집니다. 가톨릭 교회는 그에게 감사하고 존경을 표하며, 서양 문화권은 그의 이름과 그 영광에 대한 공헌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제3장 아우구스티노의 존재론과 인류학
3.1. 아우구스티누스의 존재론
3.1.1. 신의 증거
어거스틴이 확립한 신의 존재 증명 과정 전체의 출발점은 “믿으면 이해하고, 이해하면 믿는다”(Credo intelligere, intelligere credere), 즉 신의 참된 존재를 증명하려면 먼저 신을 믿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다양한 주장을 제시했지만, 여기서는 가장 기본적인 네 가지 주장을 살펴보겠습니다.주장은 진실에서 나온다. 논쟁은 지혜에서 나온다. 사물이나 모양, 숫자의 본질에 대한 주장. 그 주장은 사물의 세계에서 나옵니다.위의 주장은 이성적 반성과 신앙적 경험 사이에 통일성을 가지고 있으며, 영원한 근원, 즉 최고의 신을 증명하기 위해 추적하는 과정의 서로 다른 단계입니다. 그는 체계적으로 하나님을 증명하기보다는 오히려 그리스도인들에게 "진실"을 상기시키려고 노력한 것 같습니다.
3.1.2. 하나님의 본성
신의 존재를 증명하는 것은 아우구스티누스가 신의 본성에 대해 논의하는 근거입니다. 그는 하나님의 본성에 관한 문제를 다음과 같은 여러 작품에 분산하여 제시했습니다.자서전, 독백, 가톨릭 교회 윤리, 선의 본질에 관하여아우구스티누스는 그의 작품을 통해 다음과 같은 기본 주장을 강조합니다. 즉, 신은 무한하고, 불변하고, 영원한 영적 존재라는 것입니다. 신은 절대적으로 선합니다. 하나님은 삼위일체이십니다. 신은 전능하며, 모든 원인의 근원이신 분이십니다.
3.1.3. 창조론
창조론에서 아우구스티누스는 다음과 같은 본질적인 문제들을 논의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즉, 신이 무(無)에서 창조되었다는 것, 창조 과정, 세상의 목적과 질서, 시간의 본질입니다. 따라서 하나님은 사랑과 절대적인 자유로 무(無)에서 유(有)의 세계를 창조하셨습니다. 하나님은 최초의 물질과 영원한 형태로 모든 것을 창조하셨습니다. 하나님이 창조한 만물의 세계는 본질적으로 선하고, 질서가 있으며, 그 자체로 목적이 있고, 전체적으로 목적을 향해 나아가며, 하나님의 영원한 법칙이나 예정된 계획에 따라 작동합니다. 시간과 관련하여, 아우구스티누스는 시간의 본질과 시간의 측정이라는 두 가지 문제를 설명합니다. 그는 시간의 본질은 항상 현재라고 주장했다. 즉, 과거는 과거의 현재이고, 현재는 현재 중의 현재이며, 미래는 미래의 현재이다. 시간의 길이나 짧음은 영혼의 인식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아우구스티누스의 관점에서는 시간은 주관적이고 시간은 상대적입니다.
3.2. 인류학
3.2.1. 인간의 기원과 본성
아우구스티누스에 따르면, 인간은 진실로 살아있는 존재일 뿐만 아니라, 창조된 세상에서 가장 뛰어나고 탁월한 존재입니다. 어거스틴은 인간이 하나님에 의해 자신의 형상으로 창조되었다는 성경에 확립된 교리를 계속 설명하고 발전시켰습니다. 육신의 부모는 단지 하나님께서 자신의 창조 행위를 수행하는 데 사용하는 수단일 뿐입니다. 인간은 완벽한 육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것이 아니라 지적이고 합리적인 존재이기 때문에 존재의 가장 높은 수준에 놓여 있기 때문에 창조되었습니다. 인간의 본성은 영혼과 육체로 이루어져 있지만, 그 본성은 본질적으로 영혼에서 표현됩니다. 영혼은 육체의 삶이고 육체는 단지 외부의 물질적 껍질일 뿐입니다.
3.2.2. 영혼에 관하여
아우구스티누스는 영혼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면서 영혼의 기원, 본질, 구조라는 두 가지 주요 문제를 다루었습니다..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 하나 있습니다. 하느님은 인간의 창조주이시며, 따라서 그분은 영혼의 저자이십니다. 그러나 인간 세대를 창조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아우구스티누스는 영혼 전달 이론을 택했습니다. 영혼의 본질은 신비이며, 아우구스티누스 이전까지 서양 사상에서는 구체적으로 설명된 적이 없습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영혼이 단순하고 보이지 않는 속성을 지닌 비물질적인 영적 실체라고 주장합니다. 영혼의 또 다른 본질은 불멸입니다. 왜냐하면 영혼은 영(좁은 의미에서)을 포함하고 있으며 불멸하기 때문입니다. 영혼은 기억, 이성, 의지라는 세 가지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들은 한 몸의 세 부분이 아니라, 단일한 영혼 실체의 에너지입니다.
3.2.3. 자유 의지와 내면의 경험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있는가?이 문제와 관련하여, 아우구스티누스는 자유 의지가 무엇보다도 신이 인간에게 준 좋은 선물이라고 믿었지만, 절대적인 의미의 자유 의지란 존재하지 않고, 오직 신이 예정한 한계 내에서의 자유 의지만 존재한다고 했습니다. 다시 말해서, 하나님은 인간을 창조하시고 자유 의지를 주셨지만, 모든 의지의 자유로운 선택은 하나님의 예정된 계획 안에 있습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자신의 내면 생활을 꿰뚫어보면서 인간 존재의 실존적 본질이 특히 내면의 갈등과 위기에서 나타난다는 것을 깨달았는데, 그는 이를 "영혼의 질병"이라고 불렀습니다. 이는 하나님으로부터 비롯된 거룩한 의지와 인간의 신체로부터 비롯된 세속적인 의지 사이의 갈등입니다. 오직 성스러운 의지가 세속적인 의지를 이길 때에만 우리는 진정한 행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인간을 다방면에서 연구했지만, 인간 존재의 본질은 그의 마음이 완전하고 명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커다란 신비라고 여전히 믿었습니다.
3장의 결론
아우구스티누스가 그리스 전통과 유대-기독교 전통에서 제기된 존재론의 가장 핵심적인 문제들을 다루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존재론은 여러 가지 질문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사물은 어디에서 왔고, 사물의 본성은 무엇인가? 최고 존재인 신이 존재하는가? 만약 있다면, 신의 본성은 무엇인가? 기독교 신앙의 진실을 기초로 하고 그리스 철학의 이론적 핵심을 빌려, 아우구스티누스는 신이 존재하며, 신은 비물질적이고, 무한하고, 불변하고, 영원하고, 전적으로 선하고, 전능하고, 독특한 영적 존재임을 증명했습니다. 하나님은 세상의 창조와 섭리의 근원이십니다. 하나님이 창조한 세상은 그 본성상 목적이 있고, 질서 있고, 선합니다. 모든 사물은 형상과 질료라는 두 가지 요소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중 형상은 모든 사물의 본성을 결정하는 필수 요소입니다.
인류학에 대한 그의 성찰에서 형이상학적 접근을 통해 아우구스티누스는 인간이 참된 존재이며, 신이 자신의 형상으로 창조한 모든 것의 정점이라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인간의 본질은 감각적 신체를 지닌 이성적 영혼입니다. 영혼은 기억, 이성, 의지로 이루어진 세 가지 구조를 지닌 비물질적이고 불멸적인 영적 존재입니다. 인간은 이성적인 영혼일 뿐만 아니라 삼위일체의 구조와 유사한 삼중 구조, 즉 성부-성자-성령을 지닌 영혼이기 때문에 신의 형상입니다. 따라서 신을 알기 위해서는 영혼을 통해서야 하고, 영혼을 알기 위해서는 신을 통해서야 합니다. 역사적인 관점에서 볼 때, 아우구스티누스는 인간은 하나님의 예정과 은혜 안에서 자유로운 존재라고 지적했습니다. 인간 존재의 본질은 삶의 선택에 직면했을 때 압도적인 감정, 위기, 내면적 갈등을 동반한 극도로 복잡한 내면 세계에서 드러납니다. 의지의 자유로운 선택은 인간을 도덕적 세계로 인도하고 궁극적인 진리인 신을 찾는 여정으로 인도합니다. 여기에서부터 아우구스티누스의 인류학은 인간의 도덕적, 인지적 능력에 대한 사고에서 확장된 인류학으로서 윤리학과 인식론에 계속 적용될 것입니다.
존재론과 인류학은 특히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적 사상과 일반적인 기독교 철학에서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한 두 가지 문제입니다. 그것은 윤리학, 인식론, 역사철학 등 다른 사상 분야의 출발점이 되었습니다. 기독교적 관점에서 볼 때, 아우구스티누스는 신앙의 진리를 기초로 삼고 그리스 철학의 본질적인 가치들을 계승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는 기독교의 존재론과 인류학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렸으며, 철학적 논거를 통해 유대교와 힌두교의 존재론과 인류학을 능가했습니다. 이것은 교부이자 기독교 신학자로서 그의 매우 중요한 공헌이었습니다. 게다가 철학자로서 아우구스티누스는 그리스 철학의 존재론적, 인류학적 내용을 많이 추가하고 발전시켰는데, 특히 신, 시간, 인간의 내면 세계를 증명하는 문제에서 그러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신학과 철학의 특징은 사고의 종말을 향해 나아가려는 욕구이다.
제4장. 오거스틴의 윤리와 인식론
4.1. 윤리학
4.1.1. 사악한
도덕적 악을 논할 때, 질문은 죄의 본질이 무엇인가 하는 것입니다.아우구스티누스는 죄의 본질은 인간이 하나님으로부터 돌아서서 하나님의 명령과 계명을 따르기를 거부하고 자신의 뜻을 따르는 것이라고 믿었습니다. 죄의 기원은 자유 의지에서 비롯되는데, 이로 인해 영혼은 두 가지 상반되는 의지, 즉 선의지와 악의지로 나뉘게 되며, 이는 궁극적인 선과 궁극적인 악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이로 인해 사람들은 선택의 상황에 놓이게 됩니다. 우리가 궁극적인 선을 추구한다는 것은 의로운 삶을 선택하고 신의 계명에 순종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또한 도덕적 선이며, 이를 통해 우리는 진정한 행복을 얻습니다. 반면에 우리가 악을 선택하면 그것은 죄입니다. 악은 모든 악의 근원이며, 모든 악한 사람은 자신의 악한 행동의 저자입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탐욕이 모든 악의 근원이며, 탐욕은 인간 본성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믿었습니다.
4.1.2. 행복하다
어거스틴은 행복이 인간 삶의 궁극적인 목표라고 믿었고, 사람마다 행복을 추구하는 방식이 다르다고 했습니다. 행복의 본질은 기쁨이며, 우리가 원하는 선을 이룰 때 느끼는 영혼의 즐거움입니다. 어거스틴은 진정한 행복과 거짓된 행복을 구별하려고 노력했습니다. 거짓된 행복은 사람들이 창조된 세상의 선을 추구하고 성취할 때 느끼는 영혼의 기쁨과 즐거움입니다. 진정한 행복이나 지복은 인간이 최고의 선, 즉 신을 추구하고 이를 달성할 때 얻는 즐거움입니다. 어거스틴은 그것을 변함없는 기쁨, 거룩한 즐거움, 순수한 마음의 평화라고 불렀고, 진실은 진정한 행복에 속하는 모든 감정의 공통 분모라고 했습니다. 그는 진정한 행복은 진실 안에서의 기쁨이라고 말했습니다.
4.1.3. 덕
덕이란 인간을 행복으로 이끄는 올바른 삶의 기술입니다. 덕성이나 올바른 삶을 얻으려면 사람에게는 훈련 과정이 필요하며, 그 전체 과정은 겸손으로 시작해야 합니다. 겸손을 통해 그는 하느님을 향해 세 가지 덕성을 실천하게 됩니다.믿음 - 소망 - 사랑사랑은 기독교의 영혼이며, 하나님을 사랑하고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것은 기독교 도덕의 가장 기본적이고 본질적인 계명입니다. 신에 대한 사랑은 절제, 용기, 정의, 신중이라는 네 가지 기본적인 도덕적 미덕을 통해 표현됩니다. 다른 사람을 자신처럼 사랑하는 것 역시 하느님의 사랑의 표현입니다.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것은 다른 사람을 궁극적인 선, 즉 신에게로 인도하려는 노력입니다. 다른 사람에 대한 사랑, 자신에 대한 사랑, 세상의 어떤 것에 대한 사랑은 모두 신에 대한 사랑에서 나와야 하며, 신에 대한 사랑을 향해 나아가야 합니다.
4.2. 인식론
4.2.1. 진실 - 인지 과정의 목적
어거스틴은 모든 인지 과정의 목표는 진실이며, 진실을 추구하고 고수하는 것이 우리가 행복한 삶을 사는 데 도움이 된다고 믿었습니다. 진실은 보편적이고 불변하며 영원한 진실로 이해됩니다. 동시에, 진실로 간주되는 지식은 획일성의 원칙을 보장해야 합니다. 즉, 진실과 동일하거나 진실을 완벽하게 모방해야 합니다. 진리의 본질은 영원한 형태의 가장 완벽한 반영입니다. 진실은 인간 자신 안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진실을 추구하려면 우리 자신에게로 돌아가야 합니다.
4.2.2. 신앙과 이성의 변증법 - 인지 과정의 수단
아우구스티누스에 따르면, 신앙과 이성은 모든 진리를 아는 과정에 있어서 근본적이고 필수적인 두 가지 방법이며, 특히 최고의 진리인 신, 즉 모든 진리 중 하나의 진리에 있어서 그렇습니다. 그는 이렇게 썼습니다:“믿으면 이해되고, 이해하면 믿으세요."(intellige ut credas, crede ut intelligas). 신앙의 역할은 교리를 확립하고, 영 안에 확고한 진리를 확립하는 것이며, 이성은 그 지식을 설명하고 명확히 하기 위한 논증과 증거를 제시하는 임무를 맡는다. 이성과 신앙의 관계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의 개념을 일반화하기 위해, 우리는 회칙에서 성 요한 바오로 2세의 또 다른 표현을 빌려올 수 있다.신앙과 이성(믿음과 비율: "믿음과 이성은 진실을 묵상하면서 인간의 마음이 높이 날아오르는 데 도움이 되는 두 날개와 같습니다."
4.2.3. 인지 과정과 깨달음
아우구스티누스는 인간의 인지가 세 단계, 즉 외부 감각에 의한 인지, 내부 감각에 의한 인지, 이성에 의한 인지로 구성되어 있다고 믿었습니다. 이 세 단계는 감각적 지각과 이성적 지각에 대응되는데, 여기서 감각적 지각에는 외적 감각적 지각과 내적 감각적 지각이 포함되고, 이성적 지각은 이성적 지각의 단계에 대응합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인간은 내면의 교사인 신의 깨달음 없이는 결코 진리에 도달할 수 없다고 믿었습니다. 그리고 깨달음을 얻으려면 인간은 언제나 신앙을 지켜야 하며, 그러면 모든 인지 과정의 작용이 신앙의 범위를 넘어서지 않고, 모든 지식이 교조의 한계를 넘어서지 않을 것입니다.
4.3. 아우구스티노의 철학에 대한 몇 가지 논평과 평가
4.3.1. 아우구스티누스 철학의 공헌
서양 문화권에서 아우구스티누스는 풍부한 영적 유산을 남겼으며, 그의 남은 작품들은 오늘날까지도 가톨릭교회의 백과사전으로 여겨진다. 그는 또한 그리스 합리주의 전통과 유대-기독교 신앙 전통 사이의 모순이라는 문화적 내부 모순을 해결하여 서양 문화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며, 이를 통해 문화를 공통의 흐름으로 통합하고 이후 몇 세기 동안 문화가 발전할 수 있는 원동력을 마련했습니다. 또한, 아우구스티누스는 창조와 시간의 개념에 있어서 존재론을 포함하여 많은 사상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영혼과 내면적 경험에 대한 개념에서의 인류학 악, 행복, 미덕의 개념 발전에 있어서의 윤리 진리 개념과 인지 과정을 확장하는 인식론. 또한 아우구스티누스는 역사 철학의 발전에도 많은 공헌을 했으며, 많은 학자들은 그가 이 사상 분야를 처음으로 개척한 사람이라고 평가한다.
4.3.2. 아우구스티누스 철학의 한계
마르크스주의 관점에서 볼 때, 아우구스티누스 철학 전체의 가장 큰 특징은 영적 삶의 절대화와 물질적 삶의 격하이며, 이로 인해 중세 시대 내내 이념적, 사회적 수준에서 부정적인 결과가 초래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게다가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적 사상은 인류학, 인식론, 역사철학의 반성 분야에서도 일정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제4장 요약
아우구스티누스 인류학은 윤리 분야로 확장되어 인간의 실제 삶과 관련된 몇 가지 특히 중요한 문제를 다루었습니다. 그 문제란 악의 기원과 본질, 행복과 행복으로 가는 길입니다. 어거스틴은 자유의지가 악의 기원에 대한 비밀을 푸는 열쇠라고 보았습니다. 자유의지는 인간에게 절대선과 절대악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합니다. 궁극적인 선을 선택하는 것은 선의 근원이고 궁극적인 악을 선택하는 것은 악의 근원입니다. 악의 본질은 세상의 정욕을 따르기 위해 하느님의 계명을 버리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아닙니다. 악의 궁극적 근원은 탐욕이나 혐오감인데, 이는 인간을 절대적인 선, 즉 하나님으로부터 멀어지게 합니다. 진실에 대한 기쁨, 혹은 신에 대한 기쁨으로서의 참된 행복은 인간 삶의 궁극적인 목표입니다. 행복을 찾는 길은 절대선인 신을 추구하는 길입니다. 다시 말해, “신을 사랑하고 남을 사랑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는 정의롭고 덕성 있는 삶입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윤리의 근본적 문제를 다루면서 신앙의 차원에서 실제적 삶에 대한 만족스러운 답을 제공했습니다. 아우구스티누스 윤리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모든 것이 신의 보호와 감독 하에 있다는 윤리입니다. 그가 기독교 윤리에 큰 공헌을 한 것도 바로 이 시기였으며, 특히 악의 기원 문제에 대한 해석에서 큰 공헌을 했습니다.
인식론 역시 아우구스티누스 인류학의 연장선이지만, 인간의 인지 능력, 즉 신의 형상으로서의 인간 존재의 한 측면에 대한 논의를 깊이 있게 다룹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그의 모든 노력을 통해 인간이 객관적인 진실에 도달할 수 있음을 증명했습니다. 신앙과 이성은 진실을 찾는 여정에서 없어서는 안 될 두 가지 방법입니다. 인식의 과정은 순수한 신앙의 진실에서 시작하여 이성에 의해 명확해진 신앙의 진실로 끝납니다. 그러나 모든 진리는 신앙에 의해 확립되어야 하지만, 반드시 이성에 의해 확립되는 것은 아니므로 신앙은 인지 과정의 시작점이자 끝이기도 합니다. 모든 진리가 인간의 정신 속에 확립되기 위한 절대적 조건은 내면의 스승, 신의 신성한 깨달음입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인식론의 특징은 신앙의 진리라는 절대적 토대 위에서 신앙과 이성이 조화롭게 결합된다는 것입니다. 인식 대상과 인식 수단의 변화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인식론과 그리스 인식론의 근본적인 차이입니다. 또한 이는 서구 문화의 가치 체계가 이성 중심의 문화에서 신앙 중심의 문화로 변화했다는 증거이기도 합니다.
신비주의적 성격을 제쳐둔다면,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은 존재론, 인류학, 윤리학, 인식론 등 모든 근본적인 내용에 많은 공헌을 했습니다. 아우구스티누스가 서양 철학에 미친 가장 뛰어난 공헌은 인류학 분야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인류학은 기존의 인류학보다 더 포괄적이고 심오한 교리입니다. 이는 획기적인 발견이었고 또한 서양 철학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의 가장 중요한 공헌이기도 했습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적 사상은 가톨릭 교회와 서양 철학에 큰 공헌을 했지만, 당시의 상황과 그의 이념적 입장의 영향으로 인해 한계가 있었습니다. 그의 철학 체계는 신앙과 진리의 기초 위에 세워졌으므로 신비주의적 이상주의가 스며들어 있었습니다. 따라서 현대 철학과 과학의 관점에서 볼 때, 문제를 설명하려는 이성의 모든 시도는 다소 가치가 낮아진다.
끝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가톨릭 교회의 위대한 박사 중 한 명이자 서양 철학의 위대한 사상가로서, 전 세계 학자들, 특히 가톨릭과 개신교 학자들의 깊은 관심을 받아왔습니다. 오늘날 베트남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에 대한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연구는 물론 기독교 철학에 대한 연구도 많지 않습니다. 이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 특히 기독교 철학 전체가 제대로 주목받지 못했음을 보여줍니다. 이것이 바로 본 논문의 저자가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적 사상을 체계적이고 심도 있게 제시하고, 동시에 철학자의 사상에 대한 객관적인 의견을 제공하고자 하는 열망으로 이 연구 주제를 수행하게 된 동기 중 하나입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적 사상을 연구하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은 고대와 중세라는 두 시대 사이의 과도기적 맥락에서 형성되고 발전했습니다. 경제, 정치, 문화, 종교 등 사회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일어난 변화는 아우구스티누스의 발전 추세와 철학적 내용을 직접적으로 결정했습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요인은 초기 기독교 발전사에서 일어난 복잡한 변화였으며, 여기에는 로마 정부의 박해, 그리스 전통의 영향을 받은 지식인 계층의 반대, 교리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 기독교 지식인들 사이의 내부 갈등이 포함되었습니다. 이런 맥락에서 기독교는 생존과 관련된 엄청난 도전에 직면하게 되었고, 기독교 사상가들에게 기독교를 보호하고 발전시키는 중요한 사명이 부여되었으며, 이를 통해 이 종교는 서유럽의 문화적, 정신적 삶에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두 가지 문화적 전통, 즉 그리스 전통과 유대-기독교 전통의 가치를 결합함으로써, 아우구스티누스와 다른 교부들은 기독교가 직면한 문제들을 성공적으로 해결했으며, 기독교가 뿌리를 내리고 서구의 정신적, 문화적 삶에 깊이 뿌리내리도록 하는 데 크게 기여했습니다. 두 가지 문화적 전통의 결합은 기독교의 발전뿐만 아니라 서양 문화의 발전에도 중요한 의미를 지녔습니다. 아마도 아우구스티누스는 자신의 방향을 선택하고 교리 체계를 구축할 때, 서양 문화의 내부 모순을 해결한다는 더 큰 목적을 생각하지 않고 그리스 철학의 가치를 기독교 교리 체계의 발전에 적용하는 가장 중요한 목적에만 집중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위에 언급한 두 문화적 전통을 결합하면서 아우구스티누스는 문화 사상 분야에 혁명을 일으켰습니다. 그는 내부적 모순을 해소하고 문화적 대립 추세를 통합하여 이후 세기에 서양 문화의 통합과 발전에 새로운 시대를 열었습니다.
월요일두 가지 문화적 전통을 능숙하게 결합하고 조각조각 이어붙여, 어거스틴은 처음부터 끝까지 우주에 대한 완벽한 그림을 만들어냈습니다. 아우구스티누스 철학의 출발점은 신, 즉 온 우주의 창조자이자 절대적 섭리입니다. 모든 것은 하나님의 예정된 계획에 따라 창조되고, 질서가 정해지고, 운영됩니다. 창조의 정점은 인간입니다. 그는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우월한 피조물이며, 존재의 척도에서 가장 높은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성과 정신력으로 모든 피조물의 주인이 되었습니다. 인간 존재의 두 가지 근본적인 측면은 인지와 도덕성인데, 이 두 가지는 인간을 최고의 선, 즉 신으로 이끄는 길에 있는 두 가지 측면이기도 하며, 신은 진정한 행복을 얻는 곳입니다. 각 개인의 도덕적 삶이 개인의 행복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면, 사회적 도덕성은 모든 인류의 행복을 위한 전제 조건입니다. 인간 역사의 흥망성쇠는 신의 공정한 심판에 따른 사회적 도덕성에 직접적인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전체 역사적 과정의 목표는 하나님의 왕국 또는 이상적인 공화국이며, 이는 하나님께서 신성하게 예정하신 계획의 성취입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적 사상 전체는 우주에 대한 포괄적인 그림을 구성하려는 쉼 없는 노력을 나타냅니다. 그 그림은 너무나 완벽해서 8세기가 넘도록 서양인은 이와 유사한 것을 만들어낼 수 없었습니다.
화요일아우구스티누스가 인류에게 남긴 모든 영적 유산에는 특정한 역사적 한계가 있지만, 서양 철학, 기독교, 서양 문화에 대한 엄청난 가치와 공헌을 부인할 수는 없습니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철학자로서 아우구스티누스는 서양 철학에 큰 공헌을 했으며, 처음부터 끝까지 세상의 완전한 그림을 구축한 것이었습니다. 그는 그리스 철학과 유대-기독교 신앙 전통에서 비롯된 세계관과 인생관과 관련된 근본적인 철학적 문제 대부분을 제기하고 설명했습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그의 선배, 동시대 사람, 심지어 후대 사람보다 겉보기에 오래된 주제를 더 철저하게 논의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내면 세계에서의 인간 존재와 세계사의 문제 등 새롭고 독창적인 문제를 제기했습니다. 이러한 주제는 수세기 후인 20세기 실존주의와 18~19세기 독일 고전 철학의 역사철학에서 다시 나타났습니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서양 철학 발전사에서 새로운 시대를 열어 혁명적 전환점을 만든 사람입니다. 그 이후 서양 철학은 공식적으로 중세 시대에 접어들었다.
신학자로서 아우구스티누스는 기독교 사상에 독특한 흔적과 포괄적인 영향을 남겼습니다. 신의 증명, 창조론, 삼위일체, 특히 신앙과 이성의 관계 문제 등 신학적 문제를 해결하려는 그의 노력은 기독교 신학의 모델과 기준이 되었으며, 이로 인해 그는 이후 시기에 기독교 사상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신학자 중 한 사람이 되었습니다. 이단, 이단, 이단과 현대 기독교 신학 내부의 갈등에 맞서 싸운 그의 노력은 기독교 신학이 다른 종교가 갖지 못한 모범적인 신학 중 하나로 발전하는 데 크게 기여했습니다. 그러므로 기독교는 과거와 현재에 걸쳐 매우 강력한 영향력을 지닌 세계 종교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서양 문화에 미친 그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아우구스티누스는 철학과 신학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문학, 심리학, 물리학 등 서양 문화와 과학의 여러 분야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쳤는데, 오늘날에도 사람들은 그를 이러한 분야의 창시자로 여긴다. 오랫동안 사람들은 아우구스티누스를 가톨릭 교회의 신학자로 여겼지만, 그가 서양 문화의 위대한 사상가 중 한 사람이라는 사실은 잊고 있었습니다. 서양 문화의 교차로를 하나의 통일된 흐름으로 이끄는 사명을 완수한 사람, 서양 문화를 새로운 장으로 이끄는 획기적인 전환을 만든 사람이라는 사실 말입니다. 그는 지성과 끊임없는 노력으로 과거의 모든 자료를 정제하여 새로운 가치 체계(패러다임)를 형성했으며, 낡은 이념적 문제에 대한 보다 명확하고, 독특하고, 완전한 답을 제공하고, 서양 문화를 풍부하게 하고 활기를 불어넣는 새로운 문제를 제기했으며, 중세 시대 전체의 틀이 되었고 오늘날에도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결정적인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의 저자가 위에서 제시한 내용은 여전히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향후 연구를 통해 보완 및 개발이 필요합니다. 저자는 아우구스티누스가 가톨릭 교회, 서양 철학, 문화에 지대한 공헌을 한 위대한 성인이자 박사로서, 서양의 위대한 사상가 중 한 사람으로 연구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는 문화의 시대에 전환점을 만든 사람으로, 그 이후 서양 문화의 모든 갈래가 하나의 통일된 흐름에 들어섰습니다. 따라서 아우구스티누스 사상에 대한 연구는 두 가지 방향으로 보완되고 발전될 필요가 있다. 첫째, 위에서 제시한 기본적인 내용에만 그치지 않고 신학적 문제와 관련지어 보다 포괄적이고 전체론적이며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인류학, 윤리학, 역사 철학 등 특정 주제에 초점을 맞춘 단행본입니다. 심도와 폭 모두에서 연구를 확장하면 이 사상가에 대한 보다 객관적이고 포괄적이며 심오한 평가와 논평을 얻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동시에 우리는 그의 사상의 정수를 계승하고 학습하여 세계화와 국제 통합의 맥락에서 선진적이고 현대적인 문화를 건설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저자의 과학 저작 목록
논문과 관련된
1. 부티하이(2018),아우구스티누스 철학에서의 인간 문제, 과학 저널(하노이 국립교육대학교) ISSN 2354-1075, 제63권, 제5B호, 293-300쪽.
2. 부티하이(2018):오늘날 베트남 기독교인들의 눈에 비친 어거스틴, 국제 학술대회 “베트남과 그 지역의 기독교 사상가: 몇 가지 비교 연구”, 종교 출판사, 211-219쪽.
3. 부티하이(2018):아우구스티누스 윤리학에서의 선과 악, 교육대학 국가과학대회 논문집, 코드: ISBN 978 - 604 - 54 - 4525 - 9, 174 - 178쪽.
4. 부티하이(2019),아우구스티누스의 인류학, 사회 과학 및 인문학 저널, ISSN 2354-1172, 제 1권 5 No. 2b, 222-235쪽.
작가:우쉬
최신 뉴스
이전 뉴스